5월이 가정의 달이라면 6월은 호국의 달이다. 5월에 가족여행을 떠났다면, 6월에는 '호국영령'을 기리는 여행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그렇다면 현충원이나 대전국립묘지, 아니면 독립기념관이 머리에 떠오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 근대사의 격전지였던 강화도에도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조들의 넋이 잠들어 있다. 더구나 6월 10일은 지금으로부터 143년 전, 미군의 공격으로 신미양요가 일어난 날이기도 하다. 신미양요의 현장을 따라가며 강화도를 여행한다면, 가장 먼저 들러야 할 곳이 초지진이다. 1871년 신미양요 당시 미군이 처음 상륙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진'은 나루 '진(津)'이 아니라 막을 '진(鎭)'이다. 그러니까 초지진은 배들이 들고나는 나루터가 아니라 적의 공격을 막는 군사 요새다. 도성으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한 강화도는 예부터 외세의 침략이 잦았고, 이를 막기 위해 곳곳에 진을 설치했다. 1656년(효종 7년)에 구축된 초지진은 신미양요를 일으킨 미군뿐 아니라,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 운요호 사건을 일으킨 일본군과도 격전을 벌인 장소다. 초지진 앞의 소나무에 지금도 선명히 남아 있는 포탄 자국이 당시의 상황을 증언하고 있다. 대포를 끌고 이곳에 상륙한 미군의 목적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5년 전 일어난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책임을 묻는 것, 다른 하나는 조선과 통상 협정을 맺는 것. 제너럴 셔먼호는 조선 후기에 빈번하게 출현한 '서양 오랑캐의 이양선' 중 하나였다. 당시 이양선들은 조선과의 통상을 목적으로 들어왔으나, 대부분 중무장하고 있었다. 이들은 협상이 아니라 대포와 총칼로 통상을 강요했고, 여의치 않으면 약탈자로 변신하기도 했다. 대동강을 따라 평양으로 올라온 제너럴 셔먼호도 예외는 아니었다. 평양서윤이 통상을 거부하자 바로 강도로 돌변하여 대포와 장총을 쏘며 금은과 인삼 등을 요구했다. 이에 격분한 평양 사람들이 벌떼같이 모여들어 배를 불질러 침몰시켰다. 그런데 제너럴 셔먼호 사건 이후 조선을 침공한 것은 미국이 아니라 프랑스였다. 배가 불타버렸을 뿐 아니라 선원들까지 전원 사망했기 때문에 미국은 철저히 응징하고 배상을 받고자 두 번이나 원정을 계획했지만 실행에 옮기진 못했다. 당시 미국은 남북전쟁이 막 끝난 뒤라 여력이 없었던 것이다. 이를 틈타(?) 프랑스는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일어난 몇 달 뒤 7척의 군함으로 조선을 침공했고, 그중 4척이 강화도에 상륙했다. 물론 이들도 명분이 있었다. 그해 프랑스 신부 9명이 불법 선교 혐의로 처형당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들이 강화도를 점령한 뒤 가장 먼저 한 일은 약탈이었다. 프랑스 군대의 약탈은 양헌수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에 패배해 달아날 때까지 20여 일 동안 계속되었다. 이 사건이 바로 병인양요다. 이 때 강화도 외규장각에 보관 중이던 귀중한 서적을 비롯한 수많은 보물이 프랑스로 넘어가게 된다. 이중 외규장각 도서들은 2011년에야 '영구 대여'라는 형식으로 고국에 돌아오게 되었다. 초지진에서 약 5km 떨어진 정족산성은 조선군과 프랑스군이 최후 결전을 벌인 장소다. 이곳의 '정족산사고'에는 《조선왕조실록》이 보관되어 있었다. 조선의 관군이 목숨을 걸고 프랑스군을 물리친 이유 중 하나는 무엇보다 소중한 왕조실록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병인양요가 일어나고 5년 뒤, 미군 함대가 중국 상하이를 출발했다. 군함 5척에 1,200여 명의 군인을 태운 미군 함대를 맞이한 것은 어제연이 이끄는 조선 관군이었다. 이미 병인양요를 겪었던 조선은 나름의 대비를 하고 있었다. 안개 속에서 초지진으로 상륙한 미군 선발대 650여 명은 조선의 관군과 처절한 육박전을 벌였다. 조선군과 미군의 전투는 초지진에서 4km 남짓 떨어진 광성보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여기서 어재연 장군은 직접 칼을 휘두르며 미군과 백병전을 치렀다. 칼이 부러지자 연환을 들어 던질 정도로 최선을 다했으나 결국 목숨을 잃고 말았다. 8시간 동안 지속된 전투에서 조선군은 350여 명이 죽고 20여 명이 포로로 잡혔다. 반면 미군은 3명 전사에 10여 명이 부상을 당했을 뿐이었다. 죽을힘을 다해 싸우는 것으로는 전력의 차이를 극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 전투였다. 광성보에서 승리한 미군은 광성진 관아 건물을 불태우고 초지진에 주둔했다. 이때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한반도에 성조기가 펄럭이게 된다. 하지만 미군은 얼마 후 자진해서 철수했다. 조선 정부가 통상 요구에 여전히 침묵으로 일관하는 데다가, 조선 병사들의 결사항전을 보면서 앞으로의 전투에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들은 프랑스군과는 달리 민간인 약탈은 거의 하지 않았다. 신미양요 때 파괴된 광성보는 1976년에야 복구되었다. 자그마한 성곽에 불과한 초지진과 달리 여느 도성의 대문으로도 손색이 없는 입구가 보는 이를 압도한다. 어재연이 이끄는 주력부대가 초지진이 아니라 이곳을 최후의 결전 장소로 선택한 이유를 알 수 있을 듯하다. 안으로 들어서면 해안가 방어시설인 돈대가 나온다. 하지만 수백 명의 조선 군사가 목숨을 걸고 외적을 막았던 곳은 여기가 아니다. 이곳에서 해안 쪽으로 수백 m 더 들어간 곳에 있는 또 하나의 돈대에서 처절한 육탄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그곳의 이름은 손돌목돈대.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을 벌였던 울돌목이 떠오르는 이름이다. 과연 손돌목도 강화도와 육지 사이, 물살이 빠른 바닷길을 가리킨단다. 돈대에서 바다를 보니 닿을 듯 지척인 육지 사이 곳곳에 회오리 물결이 보인다. 이 물결도 미군의 상륙을 막지 못했고, 결국 조선의 군인들은 최후까지 싸우다 목숨을 잃고 말았다. 이들의 주검은 광성보 안에 묻혔다. 고종은 신미양요 2년 뒤 쌍충비를 세워 이들의 충절을 기렸다. 쌍충비는 다행히 지금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초지진에서 시작한 '신미양요 투어'는 강화역사박물관에서 마무리된다. 신미양요 당시의 모습을 다양한 유물과 자료를 통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초지진과 광성보, 손돌목에서 상상했던 그때 그 모습들이 생생하게 다가온다. 우선 눈길을 끄는 것은 거의 실물 크기로 재현한 미군의 상륙 장면이다. 커다란 대포를 끌고 올라오는 미군을 향해 성곽 위의 조선 군사들이 총을 쏘고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조선 군사들의 조총은 성능이 좋지 않았다. 그래도 조선의 군사들은 목숨을 걸고 용감히 싸웠다. 이는 당시 미군 병사의 증언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조선군은 근대적인 무기 한 자루 없이 우리에게 대항하여 용감히 싸웠다. 아마도 우리는 가족과 국가를 위해 그토록 강렬하게 싸우다 죽은 국민을 다시는 볼 수 없을 것이다. 프랑스와 미국, 두 서양 열강의 침략을 받은 조선 정부의 선택은 '더욱 철저한 쇄국'이었다. 흥선대원군은 전국에 척화비를 세우고 서양 오랑캐와 화친하자고 하는 것 또한 매국이다라고 썼다. 결국 조선의 문호를 연 것은 서양 오랑캐가 아니라 일본이었다. 강화도를 침략한 일본의 강요로 맺게 된 조약의 정식 이름은 '조일수교조약', 별칭은 '강화도조약'이었다. 초지진 주소 : 인천 강화군 길상면 해안동로 58 문의 : 032-930-7072
광성보 주소 : 인천 강화군 불은면 해안동로466번길 27 문의 : 032-930-7070 강화역사박물관 주소 : 인천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9 문의 : 032-930-3114
1.주변 음식점
명품한우 : 고기 / 강화군 길상면 해안남로 328-7 / 032-937-3105
서해복집 : 복지리 / 강화군 하점면 창후로 314-18 / 032-933-7515
장어마을 : 장어구이 / 강화군 길상면 해안남로 309 / 032-937-0592
2.숙소
라르고빌 :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2845번길 27-3 / 032-555-8868
허브하우스 :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2246번길 21-1 / 010-8335-1128
별장아원 : 강화군 내가면 고비고개로743번길 47-7 / 010-7752-4333
http://www.pensionawon.com/
글, 사진 : 구완회(여행작가)
※ 위 정보는 2019년 3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