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수평선을 뚫고 바다 아래서 솟아나는 태양은 우리에게 이미 익숙하지만 새로운 1년을 살아갈 힘을 준다. 우리들이 해돋이를 찾아 나서는 이유다. 한반도의 동해안 대부분은 해돋이 명소로 부족함이 없다. 그중에서도 ‘해돋이’하면 바로 떠오르는 해돋이의 고전 명소로 떠나봤다. 해돋이의 고장 강릉, 강릉이 품은 일출 명소 쌍두마차, 경포대와 정동진이 주인공이다. 연말연시 이 즈음이면 생각나는 몇몇의 공간이 있다. 지리적 특성상 서해는 해넘이로 동해는 해맞이로 길손들 마음을 사로잡는다. 매일 뜨고 지는 태양이건만 그래도 한해의 마지막과 시작을 알리는 그의 존재는 뭔가 특별하다. 반복되는 일상, 그래서 소중함을 잊었던 순간을 오롯이 관찰하는 동안 우리는 절로 한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한다. 서울에서 2시간 반, 강릉까지 닿는 시간이다. 물론 12월31일에서 1월1일 넘어가는 특별 시기에는 그렇지 않다. 길 위에서 해돋이를 보고 싶지 않다면(물론 그것도 추억이 되겠지만) 부지런히 움직여야 한다. 강릉 시내에 도착하면 또 다시 갈림길에 선다. 설악산과 동해 바다를 품은 강릉은 대관령 동쪽 영동지방에 자리한다. 왼쪽으로는 백두대간이 오른쪽으로는 동해와 닿는다. 강릉 땅은 바다로 향하니 뭍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은 위와 아래다. 동해안 줄기를 따라 북쪽으로 향하면 경포대와 주문진항, 남쪽으로 가면 정동진이다. 해돋이 명소로 꼽히는 양대산맥인 경포대와 정동진은 제법 떨어져 있어 하루에는 보기 어렵다. 이틀 아침은 있어야 여유있게 한 장소씩 일출을 음미할 수 있다. 1박2일에 일출을 모두 감상하고 싶다면 새벽3시(수도권 기준)에 출발하면 된다. 첫날 출발해서 바로 일출을 보고 한 바퀴 돌아본 후 다음날 다른 일출을 보면 꽉 찬 1박2일로 2번의 일출을 맛볼 수 있다. 경포대냐 정동진이냐, 선택은 그대의 몫. 각각의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해 경포와 정동진 두 공간에서 해가 솟기를 기다렸다. 아, 해돋이를 감상한 후에는 안목항으로 이동해 홍게가 들어간 해물칼국수를 맛보고 커피한잔 하는 것도 잊지 말자. 커피의 고장 강릉에서 <보헤미안><테라로사>를 빼놓으면 섭섭하다. 강릉 시내에서 경포대로 향하면 자연스레 오죽헌~선교장~해운정을 거치게 된다. 모두 강릉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핫 스팟’들이다. 먼저 오죽헌(보물 제165호). 주변에 검은 대나무가 숲을 이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조선의 대학자, 신사임당의 아들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곳이다. 조선 초기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몽룡실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율곡의 어릴 적 이름은 ‘현몽’이었다. 신사임당이 용꿈을 꾸고 태어났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율곡의 부친이 강릉 집으로 돌아가던 중, 같은 용꿈을 꾼 주모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고 신사임당과 잠자리를 같이 해 율곡을 잉태했다고 전해진다. 검은 대숲을 스치는 바람소리가 들려온다. 율곡은 자신이 태어난 외가 덕분에 강릉과 인연이 깊다. 오죽헌 지척에 선교장(중요민속자료 제5호)이 자리한다. 조선 후기 영동 지방 상류층의 주거생활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선교장을 한글로 풀어내면 ‘배다릿집’이란 뜻인데 이는 경포호의 물이 이곳까지 차 있을 때 배가 드나들던 옛 지명인 ‘배다리마을’에서 유래했다. 옛날에는 경포호의 둘레가 20리에 달했다니 호수물이 지금의 뭍까지 차 있었으리라. 시간이 흐르면서 호수에 토사가 흘러들어 점점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 지금도 경포호 둘레는 줄어들고 있다.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묵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하던 경포호. 호수가 거울처럼 맑다고 해 경호 혹은 군자호라고 불렀단다. 경포호 서쪽 언덕에 자리한 경포대에 오르면 경포호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조선의 문장가 송강 정철은 <관동별곡>에서 경포대를 관동팔경의 하나로 소개했다. 옛날 풍류객들은 달 뜨는 밤이면 경포대에 올라 달을 즐겼단다. 우리들이 ‘경포대 일출’이라고 부르는 것은 대부분 경포대해수욕장에서 바라보는 일출이다. 어디든 동해에서 장엄하게 떠오르는 태양을 볼 수 있다. 광화문에서 정확히 동쪽에 있다는 정동진(正東津). 숙박시설도 카페도 없던 작은 어촌마을을 품은 정동진역은 간이역이었다. 우리나라에서 바다 가장 가까이에 자리한 역이다. 1962년, 주변 탄광에서 생산되는 석탄을 수송하기 위해 문을 열었다. 이후 탄광들이 폐쇄되면서 간이역의 수명도 끝나는가 싶더니 전설의 드라마 <모래시계>가 방영되면서 부활했다. 당시 ‘귀가시계’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전국민의 사랑을 받던 드라마 <모래시계>에서 수배를 피해 외딴 어촌에 내려와 숨어있던 혜린(고현정)이 경찰에 쫓기며 초조하게 열차를 기다리던 기차역. 그가 뒤쫓아 온 경찰들에게 체포되던 ‘소나무 한 그루 서 있는 겨울바다 기찻길’ 촬영지가 바로 정동진역이었던 것. 드라마의 인기를 타고 사람들은 정동진역으로 몰려들었다. 조용하다 못해 적막하던 어촌마을은 ‘동해바다 일출 기차여행’ 명소로 다시 태어났다. 드라마는 모르는 사람들도 ‘해돋이’하면 ‘정동진’을 떠올릴 정도로 유명해졌다. 덕분에 정동진역 주변은 숙박시설과 식당들로 가득이다. 기찻길은 백사장과 붙어 있다. 기차에 내리면 바로 백사장과 닿는다. 지금은 철조망으로 막아두어 기차역 밖으로 나가 백사장으로 이동해야 한다. 기차 이용객이 아닌 이들이 정동진역 안으로 들어가려면 500원의 입장료를 내야한다. 백사장으로 이동한다. 날은 춥지만 일출을 보러 모여든 사람들은 적지 않다. 12월31일이면 이곳 정동진 해안의 백사장은 사라들로 가득 찬다. 바다를 향해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려 태양이 솟기를 기다린다. 새해 소망도 빌어본다. 손잡은 연인들, 아이를 데리고 온 가족들, 홀로 촬영 온 사진가들. 모두 태양을 기다리며 빌어본다. 새해에는 이루어져라! 주변 음식점 보헤미안 : 강릉시 연곡면 영진리 181 / 핸드드립커피 / 033-662-5365 테라로사 : 강릉시 구정면 현천길 / 핸드드립 커피&파스타&샌드위치 / 033-648-2760 http://www.terarosa.com/ 서지초가뜰 : 강릉시 난곡길 76번길 43-9 / 못밥 / 033-646-4430 미락식당 : 강릉시 견소동 287-19(안목항) / 해물칼국수 / 033-652-4160 숙소 강릉게스트하우스 : 강릉시 견소동 / 010-2987-6248 강릉선교장(명품고택) : 강릉시 운정동 / 033-646-4270 http://www.knsgj.net/ 베니키아 산과바다 주문진리조트 : 강릉시 주문진읍 해안로 / 033-661-7400 브이브이호텔 : 강릉시 하슬라로 192번길 / 033-647-2222 http://www.vvhotel.co.kr/ 글, 사진 : 한국관광공사 국내스마트관광팀 이소원 취재기자 msommer@naver.com ※ 위 정보는 2019년 3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