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연포분교는 늘 그리운 이름이다. 소사마을과 연포마을 사이에 다리가 없던 28년 전, 줄배를 타고 동강을 건너 연포분교에 간 적이 있다. 거대한 뼝대(바위로 된 높고 큰 낭떠러지) 아래로 물안개 헤치고 동강이 유유히 흐르는 풍경 앞에서 ‘우리나라에 이렇게 아름다운 곳이 있었나?’ 감탄했다. 연포분교 운동장에서 아이들과 축구하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 후 몇 번 더 연포분교에 들렀고, 연포분교가 캠핑장으로 바뀌었다는 말을 듣고 일부러 찾아가기도 했다. 옛 기억을 더듬어 연포분교로 가는 길은 한없이 설렌다. 드라이브 시작점은 인적 뜸하고 소박한 예미역이 적당하다. 예미역은 청량리역을 출발한 무궁화호 열차가 하루 다섯 번 정차한다. 무인역으로 운영되지만, 내부가 깔끔하고 화장실도 이용할 수 있다. 예미교차로에서 유문동·동강 방면으로 직진하면 산비탈에 너른 밭이 펼쳐진 유문동이 나온다. 몇 가구가 드문드문 모여 있고, 슬레이트 지붕 위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풍경이 영락없는 오지 마을 같다. 정자가 있는 곳에 ‘동강 가는 길’ 이정표가 발걸음을 재촉한다. 유문동에서 구불구불 이어진 고성리재를 오르는데, 터널이 있다. 일반 터널과 달리 입구가 너무 좁아 들어가도 되는지 망설여진다. 고성터널은 1985년 고성리재 아래로 수도관을 묻으며 생긴 도수 터널(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산을 뚫어 만든 길)이다. 내부는 차 한 대가 간신히 지날 만큼 좁고 어둡다. 시멘트로 만든 갱도와 다름없지만, 지름길이라 주민들이 이용한다. 어두운 터널에서 나오면 첩첩산중인데, 지도에 없는 샹그릴라가 나타날 듯한 기분이다. 동강고성안내소를 지나면 삼거리와 만난다. 왼쪽 연포길을 따르면 덕천리 원덕천마을이 나온다. 잠시 마을회관 앞에 차를 세우고 마을을 둘러본다. 옥수수밭 한가운데 외양간이 눈에 들어온다. 가까이 가니 어미 소와 송아지가 우물우물 맛있게 여물을 먹고 있다. 어미 소가 낯선 사람을 발견하고 눈을 부라린다. 외양간 앞에서 조망이 시원하게 열린다. 구불구불 물레재로 오르는 도로가 보이고, 그 옆에 동강 일대 최고봉 백운산이 장수처럼 버티고 섰다. 물레재 정상에는 솔숲이 우거지고, 서낭당이 자리한다. 물레재는 옛날 고갯마루에 실을 뽑는 물레가 걸려 있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연포마을과 소사마을 사람들이 장에 가려면 물레재를 넘어야 했다. 도로가 없을 때는 걸어서 험한 고개를 넘었다. 서낭당에 그 시절 주민들의 애환과 기원이 담겨 있다. 물레재에서 내려오면 소사마을이다. 산비탈에 들어앉은 마을이 수려한 뼝대와 동강을 바라본다. 비료를 뿌린 널찍한 사과밭이 평화롭다. 소사마을에서 내려오면 동강을 건너는 세월교와 만난다. 다리가 없던 시절, 연포마을은 동강으로 끊긴 섬 같았다. 여기서 줄배를 타고 연포마을로 들어갈 때, 얼마나 설렜던가. 연포분교는 캠핑장을 꾸미면서 많이 변했지만, 학교 건물은 옛 모습 그대로다. 오지 캠핑 장소로 마니아 사이에 인기다. 연포분교는 영화 〈선생 김봉두〉 촬영장으로도 유명하다. 옛 분교의 아름다운 모습이 영화에 오롯이 남았다. 연포분교캠핑장 마당에서 뼝대 세 봉우리가 잘 보인다. 주민들은 칼봉, 둥근봉, 큰봉이라 불렀다. 연포마을에는 달이 세 번 뜬다는 말이 있다. 달이 세 봉우리에 가렸다가 나타나기를 반복하기 때문이다. 연포분교는 1969년 개교해 졸업생 169명을 배출하고 1999년 폐교했다. 캠핑장 옆에 연포상회가 있어 반갑다. 연포상회는 마을의 유일한 가게이자 식당으로, 오래전부터 이 자리를 지켰다. 소사마을에 살던 곤옥란 씨 부부가 20여 년 전에 인수했다. 곤 씨의 세 아들도 연포분교를 나왔다. 대처로 나간 세 아들은 지금도 명절에 모이면 줄배 타고 등교하던 시절을 이야기하며 웃는다고 한다. 연포마을에서 나와 동강 주변의 명소를 둘러보자. 다시 물레재를 넘어 원덕천마을 입구 삼거리에서 왼쪽 도로를 따르면 제장마을 입구다. 마을로 건너가는 다리 아래로 시원하게 흐르는 동강과 백운산이 어우러진 모습이 장관이다. 고성리에는 걸출한 전망대가 두 개 있다. 정선고성리산성(강원기념물)과 동강전망자연휴양림이다. 해발 425m 능선을 따라 돌로 쌓은 산성은 삼국시대 성으로 추정된다. 주차장에서 출발해 산성을 한 바퀴 도는 데 넉넉히 한 시간쯤 걸리다. 동강과 주변 산세를 감상하면서 느긋하게 산책하기 좋다. 동강전망자연휴양림은 당당하게 ‘전망’이란 이름을 사용한다. 그만큼 동강 조망이 탁 트인 곳에 들어섰다. 이름은 휴양림이지만, 숙소가 없는 캠핑장이다. 휴양림에서 가장 돋보이는 장소가 전망대다. 널찍한 전망대에 서면 백운산 아래 흐르는 동강 풍경이 압도한다. 명당으로 알려진 1·2번 덱에는 평일인데도 사람들이 텐트를 치고 있다. 휴양림은 전기 시설을 갖춰 사계절 캠핑이 가능하다. 캠핑하지 않더라도 휴양림에 자리한 카페의 커다란 유리창으로 동강을 볼 수 있다. 휴양림에서 내려오면 가수리까지 동강을 끼고 달린다. 야트막한 언덕에 나리소전망대가 있다. 동강이 백운산 아래로 흐르다가 작은 소에 에메랄드빛으로 담겨 백사장과 어우러진 모습이 일품이다. 다시 동강을 끼고 한동안 달리면 가탄마을 거쳐 가수리에 닿는다. 예미초등학교 앞 언덕에는 수령 570년이 넘은 느티나무가 우뚝 섰다. 느티나무 아래 평상은 주민들의 사랑방이다. 평상에 앉아 평화로운 동강을 바라보며 여행을 마무리한다. 〈당일 여행 코스〉 예미역→연포마을(연포분교캠핑장)→정선고성리산성→동강전망자연휴양림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예미역→연포마을(연포분교캠핑장)→정선고성리산성→동강전망자연휴양림 둘째 날 / 나리소전망대→가탄마을 섶다리→가수리 느티나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정선여행 - 연포분교캠핑장 - 동강전망자연휴양림(정선군시설관리공단) ○ 문의 전화 - 정선군청 관광과 033)560-2370 - 정선군콜센터 1544-9053 - 연포분교캠핑장 010-8239-1786 - 동강전망자연휴양림 033)560-3464 ○ 자가운전 정보 중앙고속도로 제천 IC→신동교차로→천포삼거리→예미교차로→동강고성안내소→연포마을(연포분교캠핑장) ○ 숙박 정보 - 상유재 : 정선읍 봉양3길, 033)562-1162 - 모니카안뜰 : 신동읍 함백로, 033)378-8848 - 동강테라스민박 : 정선읍 아랫만지산길, 033)563-6707 - 가리왕산자연휴양림 : 정선읍 가리왕산로, 033)562-5833 ○ 식당 정보 - 정원광장 : 곤드레밥·두부구이, 신동읍 의림로, 033)378-1237 - 모니카안뜰(서울맛집) : 돈가스·잔치국수, 신동읍 함백로, 033)378-6262 - 국일반점 : 짜장면·볶음밥, 신동읍 함백로, 033)378-7988 - 동광식당 : 황기족발·콧등치기국수, 정선읍 녹송1길, 033)563-3100 ○ 주변 볼거리 정선아리랑시장 , 아우라지 , 화암약수 , 덕산기계곡 등 .mo_footerimg {display:none;}@media screen and (max-width: 1023px) { .mo_footerimg {display:block;} .pc_footerimg {display:none;} } ※ 위 정보는 2023년 3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