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은 날씨를 가리지 않는다. 7월 장마철에는 우리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안동 농암종택으로 떠나보면 어떨까. 청량산과 낙동강이 어우러진 농암종택은 비가 오는 날 가면 금상첨화다. 구름이 내려앉은 청량산 줄기가 수묵화를 그려내고, 낙동강 물소리는 더욱 세차다. 농암 이현보 선생의 손때가 묻은 긍구당에서 하룻밤 묵어보자. 넓은 마루에 앉아 빗소리, 강물 소리, 새소리에 귀 기울이면 몸과 마음이 깨끗해진다. 농암종택에 도착하니 비가 그쳤다. 단비를 뿌린 구름은 청량산으로 느릿느릿 걸어간다. 비 오는 날 한옥의 운치를 즐기려는 계획은 살짝 어긋났지만, 그래도 촉촉한 풍경이 반갑다. 무거운 구름이 내려앉은 청량산 줄기는 농암종택의 한옥과 어우러져 그윽한 풍경을 빚어낸다. 농암 선생의 17대 종손 이성원 씨가 긍구당으로 안내한다. 긍구당(肯構堂)은 선생이 태어나고 자란 농암종택의 별채로, 당호는 '조상의 유업을 길이 잇다'라는 뜻이다. 고려 때 농암 선생의 고조부가 지은 소박한 건물이다. 마루에 오르니 낙동강 물소리가 시원하다. 나무에 가려 낙동강은 보이지 않지만, 소리 덕분에 유장하게 흐르는 강줄기가 떠오른다. 방에는 색이 고운 원앙금침이 깔렸다. 여기서는 산과 강을 함께 봐야 해요. 건물만 보고 가는 분이 있는데, 그러면 농암종택을 모르는 거야. 산은 높지도 낮지도 않고, 강은 멀지도 가깝지도 않아요. 이성원 씨를 따라 밖으로 나와 주변을 둘러본다. 능선과 한옥의 지붕이 부드럽게 이어진다. 과연! 고개가 끄덕여진다. 농암종택은 본래 도산서원 앞 분천마을에 자리했으나,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었다. 1996년 이성원 씨가 이곳에 터를 잡고, 10여 년 동안 여기저기 흩어진 종택과 사당, 긍구당, 분강서원 등 문화재를 한데 모아 지금의 농암종택을 만들었다. 종택을 개방한 건 이성원 씨의 결정이다. 안동의 어느 집안도 해본 적 없는 일이다. 이성원 씨가 애일당과 강각에 다녀오라며 열쇠를 건넨다. 긍구당에서 나오면 농암 선생을 모신 분강서원이 있고, 좀 더 강변으로 가면 건물 두 채가 보인다. 앞에 있는 애일당은 구순이 넘은 부친을 위해 농암이 지은 건물이다. 부친이 늙어가는 것을 아쉬워하며 '하루하루를 사랑한다'는 뜻에서 애일당(愛日堂)이라 이름 지었다. 선생은 부친을 포함한 노인 아홉 분을 모시고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춤추며 즐겁게 해드렸다고 한다. 애일당 뒤에 자리한 강각에 오르니 세찬 물소리와 함께 낙동강과 벽련암이 펼쳐진다. 강각(江閣) 앞에서 강물은 여울을 만나기에 물소리가 클 수밖에 없다. 물소리를 듣는 수성각(水聲閣)이란 이름이 더 어울려 보인다. 마루에 놓인 의자에 앉으면 시간이 느릿느릿 흘러가는 느낌이다. 농암은 뒷모습이 아름다운 선비로, 조선 시대 유일하게 은퇴식을 하고 정계에서 물러났다. 임금은 금포와 금서대를 하사했고, 퇴계 이황은 전별시를 지어 선물했다. 한강까지 이어진 행차를 보고 도성 백성들이 담장처럼 둘러섰다고 한다. 농암이 고향으로 돌아와 강각에서 읊은 시가 '어부가'다. 농암은 부모님을 공경하며 자연에서 유유자적 지내고 싶어, 임금의 계속되는 상경 명령에도 끝내 응하지 않았다. 나라에서는 종일품 숭정대부의 품계를 내려 예우했다. 명예를 포기하여 더 큰 명예를 얻은 셈이다. 강각에서 강변으로 내려오면 퇴계오솔길(예던길)이 이어진다. 퇴계가 집에서 청량산 갈 때 걷던 길이다. 한동안 낙동강을 따라 조붓한 길이 이어진다. 15분쯤 지나 '공룡 발자국' 안내판이 있는 곳에서 발길을 돌리는 게 적당하다. 긍구당에 오니 저물 무렵이다. 마당을 서성이며 땅거미가 풍경을 집어삼키는 걸 바라본다. 산이 검게 변하고, 구름은 비명처럼 푸른빛을 토하며 서서히 블랙홀 같은 어둠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긍구당 마루에 누워 어둠 저편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귀 기울인다. 개울물 소리가 공처럼 튄다. 소쩍새가 운다. 쏙독새는 어둠을 쫀다. 호랑지빠귀는 밤하늘에 구슬프게 휘파람을 분다. 다음 날 아침, 새소리에 눈을 떴다. 강각 앞의 강변을 산책한다. 간밤에 비가 그치고 세수한 듯 맑은 하늘이 나왔다. 강가에서 연방 물수제비를 떠본다. 이성원 씨가 식사하라고 부른다. 이성원 씨 부부와 오붓하게 담소하며 아침을 먹는 시간도 농암종택의 큰 매력이다. 농암종택에서 나와 2km쯤 가면 강 건너편으로 작은 정자가 있다. 정자 앞으로 미끈한 소나무 한 그루가 강물에 비친 제 얼굴을 본다. 고산정은 퇴계의 제자 금난수가 1560년대에 지은 정자로, 주변 경관이 빼어나 농암과 퇴계를 비롯한 선비들이 즐겨 찾았다. 가송리에서 남쪽으로 20분쯤 달리면 안동군자마을에 닿는다. 주차장에서 바라보면 산기슭 경사면에 고택이 옹기종기 모였고, 뒤로 미끈한 소나무가 병풍처럼 둘러싼 풍경이 고풍스럽다. 농암종택과 더불어 하룻밤 묵어가기 좋은 고택이다. 군자마을은 조선 초기부터 광산 김씨 예안파가 약 20대에 걸쳐 600여 년 동안 살아온 외내에 있던 문화재와 고가를 옮겨다 세운 마을이다. 오천리가 군자마을이 된 것은 입향조인 김효로의 종손과 외손 일곱 명이 '오천 칠군자'라 불렸기 때문이다. 대표적 인물이 퇴계의 수제자 후조당 김부필이다. 군자마을 가장 높은 곳에 후조당의 사랑채와 별당이 자리한다. 퇴계가 애제자를 위해 쓴 후조당 현판이 별당 대청에 걸렸다. 사랑채와 별당을 구경했으면 탁청정을 둘러볼 차례다. 탁청정은 1541년 김유가 지은 가옥에 딸린 정자로, 영남 지방의 개인 정자 가운데 으뜸으로 꼽힌다. 정면 3칸, 측면 2칸에 팔작지붕이고 명필 한석봉이 쓴 현판이 걸렸다. 탁청정 마루에 앉아 연못과 고택을 바라보는 맛이 일품이다. 군자마을에서 나와 안동호를 따라 7분쯤 가면 도산서원 주차장에 닿는다. 도산서원의 건축물은 민가처럼 검소하게 꾸민 것이 특징이다. 서원은 퇴계가 제자를 가르치고 기거한 도산서당 영역과 퇴계 사후에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지은 도산서원 영역으로 나뉜다. 도산서당은 1561년 퇴계가 직접 설계하고 지은 삼간집이다. 가운데 온돌방은 퇴계가 기거한 완락재, 동쪽의 대청은 암서헌이다. 대청이 좁아 궁여지책으로 평상을 댄 것만 봐도 퇴계의 검소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여행지는 이육사문학관이다. 육사는 퇴계의 14세손으로 본명은 이원록이다. 육사의 저항성과 문학성은 퇴계의 학통에서 이어진 것이라고 한다. 이육사문학관은 대대적 리모델링을 거쳐 올해 2월 재개관했다. 전시관과 영상실, 세미나실 등 복합 시설을 갖췄다. 동선을 따라가면 이육사의 짧지만 강렬한 생애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육사가 생을 마감한 베이징 감옥을 재현한 방에서는 울컥했다. 내 고장 칠월은 /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그의 대표작 '청포도'를 읊조리며 안동 여행을 마무리한다. <당일 여행 코스> 농암종택→고산정→안동군자마을→도산서원→이육사문학관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안동군자마을→고산정→농암종택 둘째 날 / 농암종택→이육사문학관→도산서원 관련 웹사이트 주소 -농암종택 www.nongam.com -안동군자마을 www.gunjari.net -도산서원 www.dosanseowon.com -이육사문학관 www.264.or.kr -안동관광(안동시청 문화관광 홈페이지) www.tourandong.com 문의전화 -안동시청 체육관광과 054-840-6391 -농암종택 054-843-1202 -안동군자마을 054-852-5414 -도산서원 054-856-1073 -이육사문학관 054-852-7337 대중교통 정보 -[기차] 청량리-안동, 무궁화호 하루 7회(06:40~21:13) 운행, 약 3시간 30분 소요. * 문의 : 레츠코레일 1544-7788, www.letskorail.com -[버스] 서울-안동,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32회(06:00~23:00) 운행, 약 2시간 50분 소요. * 문의 :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www.ti21.co.kr 자가운전 정보 -중앙고속도로 풍기 IC→소백로→온천로→온혜교차로에서 태백·봉화 방면 좌회전→퇴계로→가송길→농암종택 숙소 -농암종택 : 도산면 가송길, 054-843-1202 http://www.nongam.com/ -안동군자마을 : 와룡면 군자리길, 054-852-5414 http://www.gunjari.net/ -안동호반자연휴양림 : 도산면 퇴계로, 054-840-8265 http://huyang.gb.go.kr/ 주변 음식점 -도산대가 : 안동찜닭·간고등어정식, 도산면 퇴계로, 054-852-6660 -뉴서울갈비 : 갈비, 안동시 음식의길, 054-843-1400 -보문식당 : 약산채밥상·보리밥, 안동시 번영길, 054-854-6009 -까치구멍집 : 헛제삿밥·한정식, 안동시 석주로, 054-821-1056 http://andongrice.com/ 주변 볼거리 -경상북도산림과학박물관, 퇴계종택, 안동호반자연휴양림, 유교문화박물관 글, 사진 : 진우석(여행작가 ) ※ 위 정보는 2019년 10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