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군 외산면 반교마을, 반교천과 아미산 사이 배산임수의 작은 산촌에 도착했다. 1687년 나주 정씨가 정착하면서 형성된 이 마을은 옛날에 배나무가 많아서 배나무골, 돌이 많아서 도팍골이라고도 불렸으며 널판을 다리로 쓰는 마을이라 해서 '판교'라고 불리다가 '반교'로 변한 지명이 자리 잡았다고 한다. 이 마을에 온 이유는 문화재로 등록된 돌담길을 걷기 위해서다. 국내의 문화재로 등록된 돌담길 대부분은 경상도와 전라도에 분포해 있다. 충청도에서는 돌담길 문화재가 반교마을 하나뿐이다. 충청도의 외동돌담을 만나는데 그냥 갈 수 없는 법. 지도를 꺼내 주변지리를 신중히 살펴봤다. 반교마을을 보다가 부여를 살펴봐야 했고, 부여를 보다가 차령산맥을 살펴봐야만 했다.
먼저 부여군은 서북이 높고 남동이 낮다. 낮은 땅에는 강이 흐르기 마련. 부여군의 남쪽은 이른바 금강의 축복받은 지역이라 불리며 전북특별자치도와 경계를 이룬다. 반면에 부여군의 서북쪽은 늘씬한 산하가 미소를 짓고 있는 곳이라 불린다. 차령산맥이 낳은 예쁜 자식 아미산의 늘씬한 자태가 마을 너머로 확인된다. 나주 정씨가 이곳에 정착했을 당시에도 산하의 '미소'가 보였을까. 보였다면, 척박한 땅을 일군 선조에게 그 미소는 조금 원망스럽지 않았을까. 요즘 아무리 높은 산이라도 터널 하나 뚝딱 만들어버리는 시대다. 이런 때에 손수 쌓은 돌담 안에서 대를 이어가며 살아가는 반교마을은 어떤 모습일까. 널판 위에서 걷는 듯 다리 지나 마을에 들어섰다. 돌담이 있는 마을을 가게 되면 경사 높은 산사면 또는 깊은 골짜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바람이 부는 날이면 그 강도가 더욱 세기도 하다. 마을에 들어서자 산자락을 타고 내려온, 산자락을 도는 골바람이 거칠다. 때문에 돌담의 주 용도는 방풍이다. 집과 돌담 사이의 간격이 좁고 그 높이도 지붕처마에 닿을 정도로 높은 편이다. 경사진 땅에 집을 짓기 전 돌을 깔아 수평을 잡은 모습도 더러 눈에 띈다. 척박한 땅에서 돌을 골라내 여러 용도로 쓴 개척민의 수고가 느껴진다. 김장철이 한참 지났는데, 밭에는 미처 걷어 들이지 않은 배추가 흰눈에 반쯤 잠겼다. 그런데도 잎이 빳빳, 꼿꼿하다. 반교마을 단단한 돌의 풍모가 배추에도 배어있는 것일까. 돌만으로 쌓은 것도 있고 돌과 흙을 같이 쓴 담도 눈에 띈다. 한번 허물어진 적이 있는지 부분적으로 시멘트가 발라진 돌담도 있다. 박물관에 전시된 신석기, 구석기의 유물의 경우 보는 이로 하여금 머리로는 이해되지만 가슴을 때리는 무언가가 느껴지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는 현장감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이었는데, 이런 돌담길에서는 살아있는 삶의 흔적이랄까. 자연과 사람이 한데 어우러진 산촌의 돌담에서 아득하면서도 생생한 전시를 보는 듯하다. 반교마을 돌담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진 건성쌓기 또는 메쌓기라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말처럼 건성건성 쌓은 듯 보이지만 나름의 방법과 규칙이 있다. 큰 돌을 지대석으로 사용해 두 줄 깔고 점점 작은 돌을 쌓아가는 것이다. 담의 가운데로는 자잘한 돌과 흙 등을 넣어 속을 채워 빈 공간을 메꾼다. 이렇게 많은 돌의 근원도 궁금하다. 부여군의 서북쪽 산지의 특징은 암괴류와 암괴원이 발달했다는 점이다. 차령산맥은 충북에서 그닥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낮은 맥을 유지하다가 바다에 이르기 직전에 높아지는데 이 지점이 반교마을과 가깝다. 충청도의 유일한 돌담길 문화재가 이곳에 있는 이유와도 상통한다. 돌담의 한 돌과 가상 인터뷰를 했다. Q. 어쩌다가 여기로 오게 되셨나요? A. 갑자기 땅이 흔들리더니 위로 솟았어. 그리고 조용한 곳에서 한 1억년 살았나…. 어느날 비가 억수처럼 내리더니 물살에 쓸려 아래로 내려오게 됐고 거기서 또 한 1억년 정도…. 한 300년 전이었을거야. 사람들이 이곳에 하나둘 모이더니 나 같은 돌을 골라내 담으로 쓰더라고. 내 맘대로 되는 게 하나 없었어(한숨). 반교리 돌담은 현재도 꾸준한 관리를 받는다. 마을 주민이 돌담길 보존회를 구성했으며 요즘도 직접 돌담을 쌓는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도 관리하는 이유지만 돌담을 보러오는 여행객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전직 국가유산청장이자 마을청년회장인 유흥준 씨가 이곳에 머물면서 반교마을은 유명세를 탔다. 5도2촌 생활을 권장하는 그가 일주일에 2일은 머문다는 휴휴당으로 가봤다. 작은 싸립문에 자물쇠가 걸렸고 장대 2개로 입구를 막아놓았다. 그의 손이 닿은 공간에 호기심이 들지만 외출했음을 알리는 장대 2개를 넘으면 안될 일이다. 언젠가 다시 반교마을을 찾아왔을 때에는 문이 열려 있기를 희망해본다. 1.찾아가는길 * 자가운전 서천공주고속도로 서부여IC (동서천 방면으로) → 서부여IC 교차로 (논산 방면으로) → 주정삼거리 (구룡 방면으로, 12㎞) → 반교동로 (좌회전) → 반교마을 2.맛집 백제향 : 연잎밥, 041-837-0110 백제의 집 : 연잎밥, 041-834-1212 나루터식당 : 장어구이, 041-835-3155 구드레돌쌈밥 : 돌쌈밥, 041-836-9259 3.숙소 백제관광호텔 : 부여읍 쌍북리, 041-835-0870 삼정부여유스호스텔 : 부여읍 구교리, 041-835-3101 크리스탈모텔 : 부여읍 관북리, 041-835-1717 만수산 자연 휴양림 : 부여읍 외산면 심산리, 041-830-2348 - 글, 사진 : 한국관광공사 국내스마트관광팀 안정수 취재기자( ahn856@gmail.com ) ※ 위 정보는 2013년 1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