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DMZ(비무장지대, Demilitarized Zone) 접경지역에 조성된 파주 임진각(평화누리공원)은 전쟁의 아픔과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특별한 관광지로 꾸준히 ‘한국관광 100선’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산가족과 실향민들이 고향을 바라보며 통일을 염원하던 임진각과 망배단을 비롯해 전쟁 때 파괴되어 끊어진 채로 있는 임진강 독개다리, 수십 발의 총탄 자국이 남아 있는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지하벙커 등이 자리해 있다. 알록달록한 바람개비들이 꽂혀 있는 잔디 언덕과 임진강변 생태탐방로 등 아픈 역사를 위로해 주는 자연 친화 공간도 넓게 펼쳐져 있다. 철책 너머 임진강을 가로질러가는 파주 임진각평화곤돌라는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을 하늘길로 잇는 특별한 이동 수단이다. 강 건너 민통선 지역에 들어서면 마치 수십 년 세월을 넘어온 듯 기분이 묘해진다. 곤돌라에서 하차한 후 오른쪽 언덕을 오르면 캠프 그리브스에 닿는다. 한국전쟁 이후 50여 년간 미군이 주둔했던 곳이다. 미군이 철수한 후에는 숙소와 차량 정비고, 탄약고, 볼링장 등을 그대로 살려 전시관으로 탈바꿈시켰다. 지난해부터는 시간별 가이드 투어(70분)를 운영한다.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 50분까지 하루 5회 운영하며 선착순 매표한다(1회당 100명 이내). 입장료는 3,000원. 월요일과 1월 1일, 설추석 당일은 휴관한다. 투어에 참여하면 가이드 안내에 따라 캠프 내 여러 공간을 관람할 수 있다. 미군들이 실제 생활했던 퀀셋(길쭉한 반원형의 간이 건물) 막사에 꾸민 다큐멘타관이나 판문점 T1(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장)을 재현한 기획전시관, 독신자 부사관 숙소를 활용한 중립국감독위원회 국가 전시관 등 볼만한 전시들이 많다. 탄약고에 설치된 이승근 작가의 작품 ‘이 선을 넘지 마시오’는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통해 분단의 역사를 넘어 희망으로 향하는 메시지를 전해준다. 갤러리 그리브스에는 정전 협정 서약서가 전시되어 있으며 장사리 전투 등 학도의용군들의 이야기도 전하고 있다. 특히 이우근 학생이 어머니에게 쓴 편지는 눈시울을 뜨겁게 한다. 캠프를 나서면 반대쪽 길로 걸음을 옮겨보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회담 때 함께 걸었던 파란색 ‘도보다리’가 재현되어 있다. 다시 곤돌라에 탑승해 철책 너머로 되돌아오는 길,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이 한층 더 커진 걸 느낀다. 파주 임진각평화곤돌라 요금은 1만 2,000원(일반 캐빈 대인 왕복 기준)이며 3월 10일과 6·9·12월 첫 번째 월요일에 휴장 한다. 아이가 있다면 ‘2025-2026 한국관광100선’에 선정된 DMZ 생생누리는 필수 코스다. DMZ의 역사와 생태환경을 디지털 기술로 구현한 실감 미디어와 여러 가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층 DMZ 포털에는 셔틀 라이더, 드론 라이더, DMZ 비밀의숲, DMZ 생생동물원 등 흥미로운 공간들이 많다. 특히 VR기기를 이용한 드론 라이더는 지리산과 설악산을 하늘에서 내려다보거나 DMZ 접경지를 오프로드로 즐기는 생동감 있는 경험을 선사한다. 2층은 DMZ 지역과 아름다운 자연을 미디어 아트로 꾸며 놓았다. 대형 미디어월에 투영된 환상적인 장면들이 DMZ 안에 숨은 보물처럼 느껴진다. 입장권은 성인 8,000원, 청소년 및 어린이는 5,000원이다. 곤돌라 이용객의 경우 영수증(당일권)을 보여주면 할인해 주며 금, 토, 일요일에는 문화해설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월요일은 휴무다. 시간이 넉넉하다면 DMZ 평화관광에 참여해 보자. 한반도생태평화 종합관광센터에 DMZ 매표소가 있다. 셔틀버스를 타고 이동해 제3땅굴과 도라전망대를 거쳐 통일촌을 둘러보게 된다. 약 3시간 소요. 예전에는 출입 신청서를 작성했지만, 지금은 QR 코드를 스캔해 방문자 정보를 입력한 후 티켓을 구매하면 된다. 온라인 예약도 가능하다. DMZ 평화관광 홈페이지에서 날짜와 코스, 회차를 선택한 후 결제하면 된다. 월요일과 주중 공휴일, 설추석 당일은 휴무다. 티켓을 발권하거나 투어에 참여할 때에는 반드시 신분증을 챙겨야 한다. 검문소에서 일일이 신분증을 확인한다. 첫 번째 코스인 제3땅굴에 닿으면 70여 m에 이르는 지하로 내려가 북한이 파놓은 갱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총 길이 1,635m 중 265m 구간만 관람이 허용된다. 도라전망대에서는 북한의 개성공단과 기정동 마을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분단국가라는 현실이 확연하게 다가온다. 통일촌에서는 민통선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과 지역 특산물을 구입할 수 있다. 파주 임진각 주변 명소로 헤이리 예술마을과 파주출판도시가 있다. 라이브 드로잉 대가인 김정기 뮤지엄은 헤이리 예술마을에 있다. 밑그림 없이 즉흥적으로 그림을 그려내는 김정기 작가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았다. 세계 곳곳에서 라이브 드로잉 퍼포먼스를 펼쳤으며 마블, DC 코믹스 등 유명한 업체들과도 협업해 왔다. 안타깝게도 2022년 프랑스 파리 일정을 마치고 뉴욕으로 가던 중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별세했다. 평생에 걸쳐 끊임없이 그림만 그렸던 작가의 열정은 그가 남긴 작품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벽면을 꽉 채운 대형 작품부터 낙서처럼 보이는 초기 습작품까지 김정기 작가만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엿볼 수 있다. 성인 1만 5,000원.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휴관한다. 파주출판도시에서는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과 지혜의 숲을 가봐야 한다.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출판사 열린책들이 설립한 미술관이다. 포르투갈 건축가 알바로 시자(Alvaro Siza)가 설계했으며 회백색 외관에 직선과 곡선이 조화를 이룬 독특한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1층은 카페와 서점이고 2, 3층이 갤러리다. 수, 목, 금요일과 주말, 공휴일에는 해설 프로그램을 무료로 진행한다. 입장료 성인 1만 원, 월요일은 휴관한다.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에 위치한 지혜의 숲은 모두를 위한 서재다. 바닥부터 천장까지 이어진 거대한 서가에 책들이 빼곡히 진열되어 있다.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독서와 사색을 즐길 수 있다. 지혜의 숲 바로 옆에는 출판도시 활판인쇄박물관이 있다. ‘3.1 독립선언문’을 찍어낸 보성사가 복원되어 있으며, 3500만 자에 달하는 수많은 활자와 인쇄기, 재단기, 무선제본기 등 여러 가지 인쇄 장비를 가까이서 볼 수 있다. 직접 활자를 골라 자신의 이름을 인쇄하거나 책과 노트를 만들어보는 프로그램도 흥미롭다. 〈당일 여행 코스〉 파주 임진각(평화누리공원)→김정기 뮤지엄→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지혜의 숲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파주 임진각(평화누리공원)→파주 이이 유적→마장호수 출렁다리 둘째 날 / 김정기 뮤지엄→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지혜의 숲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파주 문화관광 - 파주 임진각평화곤돌라 - 캠프 그리브스 역사공원 - DMZ 생생누리 - 파주 DMZ 평화관광 - 지혜의숲 -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 김정기 뮤지엄 ○ 문의 전화 - 파주시청 관광과 031)940-5197 - 임진각관광지(관광안내소) 031)953-4744 - 파주 임진각평화곤돌라 031)952-6388 - 캠프 그리브스 031)953-6970 - DMZ 생생누리 0507)1425-1396 - 파주 DMZ 평화관광(매표소) 031)954-0303 - 지혜의 숲 0507)1335-0144 -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031)955-4100 - 김정기 뮤지엄 0507)1473-0443 ○ 대중교통 정보 [열차] 경의중앙선 문산-임진강 평일 9:20, 17:05 / 토요일공휴일 9:35, 10:35, 15:45, 17:20. 문산역 하차 후 운천역 방면 플랫폼에서 열차 탑승. 임진강역 하차. * 문의 : 코레일 1544-7788 ○ 자가운전 정보 자유로→자유IC에서 문산, 임진각 방면 오른쪽 방향 5.8km 이동→ 임진각 방면 우회전 후 756m 이동→임진각로 방면 우회전 후 399m 이동→임진각IC에서 임진각평화누리 방면 회전교차로에서 11시 방향 805m 이동→임진각 평화누리공원 ○ 숙박 정보 - 호텔 시에나 : 야당동 소리천로, 031)943-7260 - 골든힐 호텔 : 탄현면 성동로, 031)942-0222 - 파주 메이트호텔 : 탄현면 엘씨디로241번길, 0507)1397-1041 ○ 식당 정보 - 옛날 시골밥상 : 간장게장·황태구이, 탄현면 새오리로 110, 0507)1373-5957 - 파머스테이블 : 파스타·피자,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59-77, 031)948-6225 - 장단콩두부촌 : 두부버섯전골·청국장, 탄현면 새오리로 15, 0507)1389-6267 ○ 주변 볼거리 - 마장호수 출렁다리 - 감악산 출렁다리 - 파주 이이 유적 .mo_footerimg {display:none;}@media screen and (max-width: 1023px) { .mo_footerimg {display:block;} .pc_footerimg {display:none;} } ※ 위 정보는 2025년 3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