볕 좋은 봄날 주말. 산길을 가다 쉬다, 주변도 좀 두리번거리고 하늘도 쳐다보면서 느긋하게 걷는 산책길. 그 중간 어디쯤, 있는 듯 없는 듯 소박하게 들어앉은 미술관이 있어 또 슥 들어가 어슬렁거리다가, 지루해지면 되돌아 나와 푸른 차밭도 구경하고 절집도 둘러보고… 그런 산책로, 그런 미술관이 집 가까이 있으면 참 좋겠다. 여기 무등산 자락 증심사 계곡의 의재미술관처럼. 요즘 남도는 물 오른 나뭇가지며, 만개한 개나리며, 따스한 햇살과 바람이며, 아주 터질 듯 봄이 무르익었다. 예향 광주의 진산인 무등산은 이맘때면 봄을 마중하려는 상춘객들로 등산로 곳곳이 울긋불긋 원색 물결을 이룬다. 수많은 등산 코스 중 가장 인기 있는 코스는 증심사에서 오르는 길. 어린아이도 갈 만한 쉬운 코스라 가족 단위 나들이객이 유난히 많은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번 여행의 목적은 무등산 등반이 아니다. 증심사 입구의 햇볕 잘 드는 계곡 옆에 둥지를 튼 작은 미술관, 진도에서 태어나 무등산 자락에 30년을 거하면서 평생 남도의 산수를 그리다 간 남종 문인화의 마지막 대가 의재(毅齋) 허백련(1891~1977) 선생의 그림들이 살고 있는 집, 의재미술관을 찾아가는 길이다. 광주 시내에서 증심사 입구까지 직선 도로에는 ‘의재로’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승용차로 간 사람도, 광주터미널 앞에서 증심사행 시내버스를 탄 사람도 모두 의재로를 거쳐 증심사 입구 주차장에 닿게 된다. 여기서부터 일반 차량은 더 들어갈 수 없다. 넓고 평평하게 난 길을 따라 가볍게 걷기 시작한다. 아웃도어 용품점과 식당, 카페 등이 즐비한 풍경은 다른 산들과 비슷하다. 무등산의 국립공원 승격을 축하하는 현수막도 걸려 있다. ‘어라, 무등산이 여태 국립공원이 아니었어?’ 무등산은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40년 만인 2012년 말에야 21번째 국립공원이 되었다. 완만한 등산로를 천천히 걸어 20여 분. 길 왼쪽에 드디어 건물 하나가 나타난다. 무등산 등산로 지형을 그대로 살려 비스듬한 경사 위에 앉힌 ‘풍경 속의 미술관’, 의재미술관이다.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미술관은 건축가 조성룡과 김종규의 공동 설계로 지어졌다. 정확히 말하면 미술관은 모두 3개 동으로 이루어졌다. 증심사를 향해 오르다 처음 만나는 이 건물은 전시동이고, 바로 그 옆에 삼애헌이라는 작은 건물, 또 그 옆에 관리동까지 총 3개 건물이 일직선으로 놓여 있다. 살아생전 의재 선생이 농업학교로 쓰던 건물을 수리해 만든 삼애헌은 차문화교실로 쓰인다. 노출 콘크리트와 목재, 유리로 마감한 의재미술관은 산과 물과 나무들 옆에 무심한 듯 툭 놓여 있어 튀거나 도드라지지 않는다. 자연을 압도하지 않으면서 의재 선생의 작품과 무등산의 조화를 건축물에 담아냈다는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아 2001년 한국건축문화대상을 수상했다. 전시동 안으로 들어서니 커다란 통유리 너머 바깥 풍경과 햇살이 건물 안으로 고스란히 따라 들어온다. 티 라운지에 앉아서 가만 보면 유리는 여섯 폭 병풍처럼 구획이 나뉘어 있고, 바깥의 무등산 풍경이 그대로 병풍 속 그림이 된다. 눈이 오면 눈 내리는 그림이, 부슬부슬 비가 내리면 비 내리는 그림이. 요즘 같은 봄날엔 햇살 듬뿍 머금은 그림이다. 게다가 창을 통해 들어온 햇볕에 온몸이 따뜻하고 나른해지니 이런 공감각적 호사가 또 어디 있을까. 미술관에 왔으니 대체 이 미술관의 주인이라는 의재 선생이 어떤 사람인지 정도는 알아야겠다. 남종 문인화의 마지막 대가로 일컬어지는 의재 허백련은 진도 사람으로, 추사 김정희의 제자이자 시․서․화에 모두 능해 삼절(三絶)이라 불렸던 소치 허련의 후손이다. 소치의 아들인 미산 허형으로부터 그림의 기본을 배웠고, 일본과 서울에서 그림 공부를 했으며, 1938년 광주에 정착해 활동하면서 연진회를 만들어 후진 양성에 힘썼다. 그런데 남종 문인화는 또 뭘까? 여기서부터는 좀 골치가 아파지는데, 거칠게 정리하면 이렇다. 원래 남종화니 북종화니 하는 용어는 중국 명나라 말에 등장한 것으로, 당나라 이후의 그림을 문인 출신이 그린 남종화와 직업 화가들이 그린 북종화로 구분한 것이 시초다(직업 화가란 이를테면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이었던 김홍도, 신윤복 같은 이들을 가리킴). 요즘으로 치면 그림을 업으로 삼지 않는 아마추어의 그림과 전문 작가의 그림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고 남종화가 비전문가의 어설픈 그림이라는 뜻이 아니니 오해하면 안 된다. 18세기 조선에서는 심사정, 강세황 등이 남종화를 주도했고, 19세기에는 추사 김정희와 그 제자들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남종화의 세계가 전개되었다. 조선 말기에는 직업 화가들도 남종화풍을 많이 따르면서 화단의 주류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아무튼 옛날 문인들에게는 그림의 기법이나 세부 묘사보다 그림을 통해 정신, 사상, 철학을 표현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일이었단다. 몸도 마음도 가볍게 나선 산책길인데 머리만 더 복잡해졌다고? 하지만 몰라도 그림 보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으니 마음껏 편하게 둘러본 후 미술관을 나와 계곡 건너편으로 넘어가보자. 계곡을 건너 처음 만나는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춘설헌, 왼쪽으로 가면 의재 선생의 묘소다. 춘설헌은 의재 선생이 해방 직후인 1946년부터 돌아가실 때까지 30년간 기거했던 작업실이다. 《25시》의 작가 게오르규를 만난 곳도, 육당 최남선 등과 교류하며 지낸 곳도 모두 이곳 춘설헌이다. 내친김에 의재 묘소까지 둘러보고 다시 계곡을 건너 이번엔 증심사와 차밭 구경이다. 미술관에서 등산로를 따라 아주 조금만 더 올라가면 무등산 자락의 가장 오래된 사찰인 증심사다. 창건연대는 860년이지만 전쟁통에 소실되고 복구하길 여러 차례, 지금 건물은 1970년대에 다시 지어졌다. 1609년경에 지은 대웅전 뒤편 오백전이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증심사 뒤편으로 펼쳐진 차밭은 의재 선생이 해방 직후 일본인으로부터 인수해 아끼며 가꿔온 곳이다. 이 차밭에서 생산된 ‘춘설차’는 그윽한 맛과 향으로 지금도 많은 차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의재미술관 관람 안내 - 관람시간 : 오전 9시 30분~오후 5시 30분(하절기), 오전 9시 30분~오후 5시(마감 30분 전까지 매표, 동절기) - 관람요금 : 일반 2,000원, 청소년·군인 1,000원, 7세 이하·65세 이상·국가유공자·장애인 무료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 웹사이트 : www.ujam.org 1.찾아가는길 * 자가운전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 → 제2순환도로 → 증심사 방면 샛길 → 톨게이트(요금 지불) → 첫번째 사거리에서 증심사 입구 방향 좌회전 → 증심사 입구 * 대중교통 광주역, 광주공항, 유스퀘어 광천터미널에서 증심사 입구행 버스 승차. 증심사 입구까지 광주역에서 40분, 광주공항에서 80분, 유스퀘어 광천터미널에서 60분 소요 2.주변 음식점 중앙식당 : 닭볶음, 백숙 / 동구 증심사길 30번길 15 / 062-222-1834 팔도강산 : 보리밥 / 동구 지호로 127번길 10-7 / 062-222-3682 3.숙소 에프엔티 : 서구 상무연하로 31 / 062-714-1003 http://www.fnthotel.com/ 베니키아 호텔예술의전당 : 서구 시청로 20번길 2 / 062-600-9999 무등파크호텔 : 동구 지호로 164번길 14-10 / 062-226-0011 글, 사진 : 이정화(여행작가) ※ 위 정보는 2019년 3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