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도 생소한 게국지는 갯벌이 맞닿은 서산 일대의 토박이 음식이다. 예전에는 김장철이 지나면 밥상 위에 찌개 대신 오르던 게 게국지였다. 김장 끝내고 남은 시래기를 게장 국물에 숙성시켜 먹던 겨울 별미였다. 배추에 게장 국물과 젓갈 등을 버무려 내놓는 게국지는 짜고 담백함이 궁합을 맞춘 맛이다. 게국지라는 이름도 갯국지, 깨국지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는데 배추절임에 게나 갯벌 해산물이 곁들여졌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게국지에는 서해안에서 나는 온갖 게 종류는 다 들어간다. 꽃게, 참게 외에 박하지 등을 으깨 게장을 담근 뒤 그 남는 국물을 넣는다. 여기에 각종 젓국으로 맛을 우려낸다. 기호에 따라 호박을 숭숭 썰어 넣기도 한다. 서산시청 앞 ‘진국집’이 게국지의 원조 식당으로 알려진 곳이다. 주방에 들어서면 된장찌개보다 더 강렬한 냄새를 풍기는 게 게국지다. 오래된 장보다 곰삭은 젓갈 향이 주방을 장악한다. 은은한 불에 미리 데운 게국지는 투가리(뚝배기)에 올려 지글지글 지져 내놓는다. 게국지는 ‘지지는’ 게 포인트다. 김치찌개가 아니기에 국물이 너무 자작자작해도 안 되고 오래 끓여도 곤란하다. 담가놓은 게국지째로 불에 올린 뒤 너무 짜지 않게 빠르게 지져야 한다. 진국집의 조이순 할머니가 게국지를 손님 식탁 위에 올린 지는 20년쯤 된다. 처음에는 시청 앞 광장 로터리에 칼국수집으로 문을 열었지만 이 집 백반이 칼국수보다 맛있다는 소문이 난 뒤 백반 한 가지 메뉴만 내놓고 있다. 게국지는 백반 상차림에서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켜왔다. “예전에는 어디 버릴 것이 있었대유. 배추에 젓갈을 이것저것 넣고 게를 쭉쭉 찢어 항아리에 담아놨다가 낭중에 꺼내 먹었지유.”
게국지는 김치 담그는 것과 비슷하면서도 또 다르다. 일단 소금에 절인 배추와 무를 준비한 뒤 게장 간장 외에 황석어젓, 멸치젓, 새우젓 등의 젓갈도 빼놓지 않는다. 여기에 고춧가루가 아닌 잘게 썰거나 빻은 풋고추를 넣는다. 김장김치와는 다른 점이다. 맛을 돋우기 위해 게나 제철 생선 ‘생 것’을 으깨거나 찢어서 곁들인다. 대파, 마늘 등은 기본 양념으로 들어가지만 별도의 장은 넣지 않는다. ‘배고픈 시절’에 먹던 음식이니 게라고 해서 덩치 큰 놈들이 통째로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요즘 게국지에는 게나 젓갈류 외에도 생선 등 신선한 해산물이 들어간다. 없어서 못 넣지 ‘생 것’이 들어갈수록 맛이 좋다는 게 할머니가 전하는 비법이다. 지난 김장때는 바다새우 10kg을 넣었단다. 진국집에서는 배추도 포기가 아닌 썰어서 게국지를 담그며 너무 일찍 숙성되지 않도록 항아리에 잘 보관한다. 그러고는 게국지를 그대로 지져서 먹는다. 식당 뒤편 장독대 항아리에는 게국지가 한가득이다. 뚜껑을 열어보니 고춧가루 대신 잘게 썬 고추가 인상적이다. 게국지는 1년 내내 식탁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특별 관리하고 있다. 다른 지역에서는 잘게 썬 고추 대신 고춧가루를 넣고, 게를 통째로 넣기도 하는데 예전 방식과는 조금 다르다.
“막 담은 게국지는 몰랑몰랑하고 푹 익은 게국지는 뻣뻣한데 식성에 따라 찾는 사람들이 달라유.” 요즘은 게국지를 먹는 시기가 따로 없다. 나이 지긋한 노인들은 예전 추억 때문인지 막 담은 게국지를 선호한다. 젓갈과 해산물이 발효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짠맛이 더 난다. 진국집 게국지는 여기저기로 소문이 났다. “일본사람, 필리핀 사람도 먹으러 왔구유. 온양 어느 식당에서는 비법을 전수받겠다고 연락이 왔시유.” 게국지는 외지인이 처음 먹기에는 짠맛이 좀 강하다. 최근에는 주말 예능 프로인 <1박2일>에 게국지의 강한 맛이 소개되기도 했다. 진국집에서는 장을 담글 때도 우리 콩을 이용한다. 방앗간 등 기계에 의지하면 못쓰고 시골 가마솥에서 직접 메주를 쑤어야 제 맛이 난다는 게 할머니의 지론이다. 식당 이름도 직접 담근 장과 나물을 내놓는 진짜 식당이라는 의미에서 진국집이라 붙였다. 식당 앞 허름한 쪽문에 단골이었던 노스님이 만들어준 나무로 된 간판이 걸려 있다. 진국집의 백반정식에는 게국지 외에도 호박찜, 된장찌개, 계란탕 등 네 가지 찌개류가 뚝배기에 담겨 나온다. 예전에는 배추와 조갯살, 들깨 말린 것이 들어간 깨먹장도 진국집의 인기 메뉴였다. 대부분의 찌개에는 새우 등 해산물이 기본으로 들어간다. 일일이 뚝배기에 내놓는 이유는 해산물의 특성상 식으면 비린내가 나기 때문이다.
여기에 도라지, 시금치, 마늘종, 파래, 엄나물, 냉이 등 계절 나물로 만든 10여 가지 반찬이 곁들여진다. 이 나물들은 할머니가 직접 서산 구시장에서 구입한 것들이다. 게국지는 호박 등을 숭숭 썰어 넣은 호박게국지로 맛볼 수도 있다. 서산 외에도 태안 일대에서 다소 싱겁거나 1년 삭힌 게국지를 먹을 수 있다. 1.인근 둘러볼 곳 서산은 이색풍취를 간직한 땅이다. 대산면 웅도는 갯벌로 나가는 소달구지를 볼 수 있는 섬이다. 섬과 육지가 연결되는 썰물 때면 마을 주민들은 소달구지를 끌고 아득한 갯벌로 나선다. 이 일대는 바지락 등 조개류가 지천으로 널린 곳이다. 서산 여행에서 간월도를 또 빼놓을 수 없다. 간월도는 달빛이 비낀 바다 외에도 일몰이 아름답고, 노을보다 붉은 어리굴젓이 유명한 곳이다. 간월암 언덕 주차장에는 늦은 오후면 일몰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몰려들기도 한다. 간월도 인근, 천수만 일대에는 겨울이면 철새들이 찾아든다. 2.가는 길 서해안고속도로 서산나들목에서 32번 국도를 따라 20여 분 달리면 서산 시내다.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편리하다.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서산까지 20분 간격으로 버스가 다닌다(1시간 50분 소요). 진국집은 시청 광장 로터리 앞 신한은행 뒤편에 있다. 터미널에서 걸어서 5분 거리다. 3.먹을 것 진국집은 오전 8시 정도부터 오후 10시 30분까지 영업하며 쉬는 날은 없다. 진국집(041-664-4994) 외에 태안 소원면의 '시골밥상(041-675-3336)'등에서도 게국지를 맛볼 수 있다. 이 밖에도 굴, 새조개 등이 서산의 겨울 별미로 통한다. 어리굴젓과 새조개 등은 간월도 인근이 유명하며 굴구이는 천수만을 낀 보령 천북 일대가 본고장이다. 글, 사진 : 서영진(여행작가) ※ 위 정보는 2014년 5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