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수
본문 내용
진천을 가리켜 흔히 ‘ 생거진천 ( 生居鎭川 )’ 이라는 말을 쓴다 . 사계절이 뚜렷하고 농사가 잘되며 자연재해가 적어 사람이 살기에 좋은 고장이란 뜻이다 . 사람 살기 좋은 곳에 여행자의 발길이 머무는 건 당연지사 . 먹거리 , 볼거리 많은 진천으로의 여행은 그래서 하늘빛 고운 이즈음이 으뜸이다 . 진천 농다리를 건너며 선조들의 지혜를 배우고 , 초롱길을 거닐며 초평저수지의 아름다움에 흠뻑 빠진다 . 만뢰산과 태령산이 품은 만뢰산자연생태공원에서 느끼는 여유로움은 진천의 자연을 만나러 떠난 이번 여행의 화룡점정이다 . 1 일 차 : 진천 농다리 → 0.3km, 5 분 ( 도보 ) → 초롱길 → 8km, 14 분 ( 승용차 )→ 초평저수지 ( 한반도 지형 전망공원 ) 2 일 차 : 진천종박물관 → 4km, 10 분 ( 승용차 ) → 생거진천전통시장 → 12km, 26 분 ( 승용차 ) → 만뢰산자연생태공원 미호천을 가로지르는 진천 농다리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 28 호 ) 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돌다리다 . 1930 년대 발간한 < 상산지 ( 常山誌 )> 에 따르면 “ 고려 초 임 장군이 축조하였다 ” 고 기록돼 있으니 그 역사가 1000 여 년에 이른다 . 임 장군은 고려 2 대 왕인 혜종 ( 재위 943∼945) 때 진천지역 호족인 임희로 추정된다 . 혜종의 의화왕후 임씨가 임희의 딸이다 . 그런데 돌무더기처럼 듬성듬성 쌓은 , 조금은 허술해 보이는 돌다리가 어떻게 천년 세월을 버틸 수 있었을까 ? 일단 그 궁금증부터 풀고 보자 . 진천 농다리는 사력암질 ( 砂礫岩質 ) 의 자석 ( 紫石 ) 으로 만들었다 . 진천의 옛 지명을 붙여 ‘ 상산자석 ( 常山紫石 )’ 이라 부르는 이 돌은 최고의 벼룻돌로 , 상산자석으로 만든 벼루는 먹물이 마르지 않고 먹이 곱게 갈려 조선시대 선비들 사이에서 최상품으로 통했다 .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설명이 조금 부족하다 . 그렇다면 돌을 쌓는 방법에 어떤 비밀이 있지 않을까 . 진천 농다리는 무심히 쌓은 돌무더기처럼 보이지만 나름의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다 . 물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교각을 유선형으로 만들었고 , 깎거나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물고기 비늘처럼 촘촘히 쌓아 내구성을 높였다 . 수량이 많아지는 장마철에 물이 자연스레 넘칠 수 있도록 세월교 ( 洗越矯 ) 형식으로 제작한 점도 농다리의 장수비결에서 빼놓을 수 없다 . 지금은 강바닥에 토사가 쌓여 교각 높이가 1m 남짓에 불과하지만 예전에는 어른이 서서 다리 아래를 지날 정도였다고 한다 . 하늘의 기본 별자리인 28 수를 응용한 28 개 교각은 두께 20cm 내외 , 길이 1~2m 의 장대석을 얹어 연결했다 .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601-32 - 문의 : 043-539-3862( 농다리 전시관 ) - 이용시간 : 상시 - 휴무 : 연중무휴 - 이용요금 : 무료 거대한 지네처럼 미호천을 굽어 지나는 농다리를 지나면 초평저수지를 따라가는 초롱길이 시작된다 . 진천을 대표하는 걷기 길 가운데 하나인 초롱길은 농다리가 끝나는 지점에서 야트막한 고개를 넘어 만나는 야외 음악당을 들머리로 삼는다 . 초롱길은 크게 초평저수지를 따라가는 수변 산책로와 굽이굽이 산길로 이어지는 트레킹 코스로 나뉜다 . 수변 산책로는 전체 구간에 산뜻한 나무 데크가 설치돼 남녀노소 누구나 편안히 걸을 만하다 . 걷는 내내 그림 같은 초평저수지가 좋은 길동무가 되어준다는 점도 수변 산책로의 매력이다 . 다만 편도로 조성된 길이다 보니 갔던 길을 고스란히 되짚어 돌아와야 하는 점은 조금 아쉽다 . 이런 아쉬움을 덜어주는 대안이 트레킹 코스다 . 수변 산책로와 트레킹 코스는 초평저수지 명물인 하늘다리에서 만나기 때문에 두 구간을 연계하면 전혀 다른 풍광을 즐기며 초롱길을 걸을 수 있다 . 트레킹 코스는 진천 농다리를 지나 만나는 첫 번째 갈림길이나 야외 음악당 앞에 설치된 ‘ 농암정 ’ 이정표를 길잡이 삼아 오르면 된다 . 산길을 따라가는 코스다 보니 가끔은 경사로를 만나기도 하지만 길이 잘 나 있고 안전 로프 등이 설치돼 걷기에 부담스럽지 않다 . 다만 하늘다리 못미처 만나는 100m 남짓의 급경사 구간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 야외 음악당에서 하늘다리까지는 수변 산책로를 따라갈 경우 1km, 트레킹 코스를 이용할 경우 1.7km 다 . 최근 하늘다리에서 진천청소년수련관을 거쳐 초평붕어마을을 잇는 3.8km 구간 공사가 마무리돼 초롱길 전체 거리가 4.8km 로 훌쩍 늘었다 .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601-32 일원 - 문의 : 043-539-3622( 진천군청 문화홍보체육과 관광팀 ) - 이용시간 : 상시 - 휴무 : 연중무휴 - 이용요금 : 무료 초롱길을 품은 초평저수지는 충청북도에서 가장 큰 저수지다 . 진천군뿐 아니라 청주시 오창 , 북일 , 북이 , 옥산 , 강서 등지까지 물을 댄다 . 1380 여 톤의 물을 담아낸 초평저수지 둘레는 29km 에 이른다 . 깊은 물에 물고기가 깃드는 건 당연지사 . 초평저수지가 강태공들 사이에서 충주호와 함께 민물낚시의 성지로 불리는 이유다 . 붕어와 잉어는 물론 가물치까지 심심찮게 올라온다 . 덕분에 저수지에 점점이 떠 있는 수상 방갈로는 초평저수지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 초롱길을 따라 초평저수지를 걷고 , 짜릿한 손맛으로 초평저수지를 즐겼다면 이제는 한반도를 쏙 빼닮은 초평저수지의 멋진 풍경을 만날 차례다 . 초평저수지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곳은 두타산 자락에 위치한 ‘ 한반도 지형 전망공원 ’ 이다 . 초롱길이 끝나는 초평붕어마을에서 600m 정도 들어가면 한반도 지형 전망공원으로 오르는 임도가 시작된다 . 완만하게 오르는 임도는 전체 1.2km 로 천천히 걸어도 20 여 분이면 전망공원에 닿을 수 있다 . 한반도 지형 전망공원은 두타산 서쪽 능선 중턱에 위치한다 . 해발 310m 지점 . 그 중심에 멋진 전망대가 있다 . 전망대에 오르면 파란 가을 하늘 아래 다소곳이 자리한 초평저수지와 한반도 지형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 단풍빛 곱게 물든 두타산과 어우러진 초평저수지는 마치 한 마리 용이 승천하는 것처럼 멋스럽다 . 가을색이 짙어가는 두타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싶다면 전망공원에서 연결되는 등산로를 이용해 산행에 도전해보는 것도 좋다 . 진천의 동쪽에 우뚝 솟은 두타산은 가을이면 단풍이 , 봄이면 진달래가 아름다운 산으로 유명하다 . 전망공원에서 초평저수지의 아름다운 풍경을 구경한 뒤 맛보는 초평붕어마을의 붕어찜 맛도 놓칠 수 없다 . 초평붕어마을에는 현재 19 곳의 식당이 영업 중이며 맛은 대체로 상향평준화되어 있다는 게 중론이다 .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563-1( 한반도 지형 전망공원 ) - 문의 : 043-539-3622( 진천군청 문화홍보체육과 관광팀 ) - 이용시간 : 상시 - 휴무 : 연중무휴 - 이용요금 : 무료 진천종박물관은 세계적으로 가치를 인정받는 한국 범종의 역사와 특징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전시한 국내 유일의 종 전문 박물관이다 . 진천역사테마공원에 자리한 진천종박물관은 이름처럼 외관도 한국 종을 빼닮았다 . 1 층 상설전시관 입구에는 한국 범종 가운데 가장 큰 성덕대왕신종을 실물 크기로 재현한 전시물이 반긴다 . 종의 탄생을 표현한 이 전시물은 주조과정을 마치고 거푸집을 떼어내는 장면을 연출한 것으로 이곳에서는 통일신라에서 고려와 조선을 거쳐 근대에 이르는 한국 범종의 역사를 다양한 전시물을 통해 꼼꼼히 살필 수 있다 . 50 여 년간 7000 여 개의 종을 제작한 주철장 ( 鑄鐵匠 , 국가무형문화재 제 112 호 ) 원광식 선생이 기증한 작품들도 이곳에 전시돼 있다 . 2 층 전시관은 범종의 제작과정과 원리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간이다 . 문양 만들기에서 종각에 범종을 고정할 때까지의 과정을 디오라마를 통해 살필 수 있고 , 공명을 일으키는 움통과 잡음을 제거하는 음통의 유무에 따른 종소리의 차이도 직접 들을 수 있다 . 종각을 축소한 듯한 모습의 태국 종과 용 문양이 들어간 중국의 편종 등 세계 각국에서 수집한 이채로운 종들도 놓칠 수 없는 볼거리다 . 진천종박물관을 찾았다면 야외 전시관에 마련된 타종 체험도 놓치지 말 것 . 녹음된 음향으로 듣는 것과 실제 종을 쳐서 듣는 소리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 성덕대왕신종을 축소 복원한 체험용 범종은 원광식 주철장이 제작 , 기증한 작품이다 .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백곡로 1504-12 - 문의 : 043-539-3847 - 이용시간 : 10:00~18:00 - 휴무 : 매주 월요일 , 1 월 1 일 , 설날, 추석 - 이용요금 : 어른 1500 원 , 청소년 1000 원 , 어린이 500 원 어디를 가든 , 누구와 있든 여행의 재미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 시장 구경이다 . 그곳이 5 일장이라면 더욱 놓칠 수 없다 . 생거진천전통시장은 진천군의 대표 민속 5 일장이다 . 조선시대 삼남에서 한양으로 가는 길목에 서던 진천 읍내장에서 기원했다 . 상설 점포 70 여 개와 노점 350 여 개가 있는 생거진천전통시장은 2015 년 리모델링을 하면서 겉모습이 현대식으로 바뀌었지만 매월 날짜가 5·10 일 끝나는 날에는 어김없이 왁자지껄 전통 5 일장이 열린다 . 장이 서는 날이면 도로변에서부터 시끌벅적 사람 냄새가 물씬 난다 . 콩나물시루 앞에서 더 달라 , 못 주네 흥정하는 할머니들도 반갑고 , ‘ 뻥이요 ’ 를 외치는 뻥튀기 장수의 걸걸한 목소리도 친근하다 . 보글보글 맛있게 끓고 있는 떡볶이와 동글동글 침샘 자극하는 도넛 같은 주전부리도 빠질 수 없는 주연들 . 익살스러운 복장의 엿장수가 건넨 달콤한 호박엿은 전통시장의 정을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다 . 진천을 대표하는 전통시장이다 보니 장이 서는 날이면 온갖 종류의 물건이 장터를 가득 메운다 . 싱싱한 제철 과일과 채소를 대형마트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으니 장바구니도 덩달아 가득가득 채워질 수밖에 없다 . 시장을 찬찬히 둘러본 뒤에는 진한 국물 맛이 일품인 소머리국밥에 80 년 전통의 백곡막걸리 한 잔 걸치면 세상에 부러울 게 없다 .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원덕로 390 - 문의 : 043-534-3338 - 이용시간 : 상시 - 휴무 : 연중무휴 만뢰산자연생태공원은 만뢰산 ( 해발 612m) 동쪽 능선과 태령산 ( 해발 453m) 서쪽 능선이 만나는 지점에 자리한다 . 진천에서 가장 높은 만뢰산과 김유신 장군 태실이 있는 태령산을 좌우에 거느린 셈 . 진천을 대표하는 두 산이 만나는 곳에 자리했으니 그 아름다움이야 두말할 필요가 없을 듯하다 . 올해로 개장 11 주년을 맞은 만뢰산자연생태공원은 11 만 8466 ㎡ 대지에 생태연못 , 자생수목원 , 밀원식물원 , 습생초지원 , 허브원 등을 갖춘 진천의 대표 생태관광지다 . 만뢰산자연생태공원에서 해야 할 일은 최대한 느리게 걷는 것이다 . 한 걸음 한 걸음을 소중히 , 그리고 그 순간을 즐기는 것이 만뢰산자연생태공원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이다 . 이것도 보고 저것도 보겠다는 욕심은 되레 만뢰산자연생태공원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게 하는 방해물이다 . 느림을 통해 자연과 내가 하나 되는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야말로 만뢰산 자연생태공원이 여행자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이다 . 관리사무소 앞 잔디광장에서 시작하는 산책로는 허브원과 별자리마당 , 밀원식물원을 거쳐 생태연못까지 찬찬히 훑고 지난다 . 흙길과 데크 로드를 번갈아 걷는 동안 수줍게 고개 내민 구절초를 만나고 , 보랏빛 고운 천일홍도 스쳐 지난다 . 바람에 실린 산비둘기 소리에 마음이 한없이 편안해지고 , 또로록 또로록 오색딱따구리의 나무 쪼는 소리에 가만히 귀 기울이게 된다 . 가을빛 닿은 반짝이는 여린 가지 위에서 한가로이 시간을 보내는 딱새와 곤줄박이도 반가운 친구들이다 . 만뢰산자연생태공원에 사는 또 다른 숲 친구들의 정보를 알고 싶다면 관리사무소 옆 산림전시관에 들러보는 것도 좋다 . 아담한 공간이지만 만뢰산에 서식하는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 표본이 마련돼 있어 아이들에게 유익한 공간이다 .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김유신길 340-38 - 문의 : 043-539-3448 - 이용시간 : 상시 - 휴무 : 연중무휴 - 이용요금 : 무료 ✔ 여행팁 전체 구간을 왕복으로 답사하기 위에서는 9.6km 를 걸어야 한다 . 왕복구간 전부를 걷기가 부담스럽다면 편도로 초평붕어마을 입구까지 걸어간 뒤 음성 - 진천행이나 진천 - 증평행 버스를 이용해 진천종합터미널로 돌아오면 된다 .( 진천종합터미널 정류소에서 진천 - 문백행 , 진천 - 안능행 버스로 환승하면 진천 농다리로 갈 수 있다 .) ✔ 추천 여행코스 당일 여행 : 진천 농다리 → 초롱길 → 초평저수지 ( 한반도 지형 전망공원 ) 1 박 2 일 여행 : 진천 농다리 → 초롱길 → 초평저수지 ( 한반도 지형 전망공원 ) → ( 숙박 ) → 진천종박물관 → 생거진천전통시장 → 만뢰산자연생태공원 ✔ 자가운전 정보 중부고속도로 진천 IC → 신성사거리에서 증평 방면 좌회전 → 삼덕교차로에서 진천읍 방면 우회전 → 소강정 2 길 → 농다리로 → 진천 농다리 ✔ 대중교통 정보 [ 버스 ] 서울 - 진천 , 20~30 분 간격 (06:30~21:00) 으로 운행 , 1 시간 40 분 소요 . 진천종합터미널 정류장에서 진천 - 문백행 또는 진천 - 안능행 버스 승차 , 중리정류장 하차 . 37 분 소요 . * 문의 :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https://www.ti21.co.kr/ , 진천종합터미널 043-533-2376 ✔ 숙소 아랑훼스펜션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화산동길 90 / 043-536-3366 / http://www.aranghwese.com/ 별빛고운언덕펜션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진안로 532 / 043-536-6114 / https://blog.naver.com/capsilver ✔ 주변 음식점 사또가든 : 붕어찜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오길 55 / 043-532-9988 하늘타리 : 장아찌정식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진로 1022 / 043-534-2420 농다리육미마을 : 한우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원덕로 179 / 043-536-6692 글 , 사진 : 정철훈 ( 여행작가 ) ※ 위 정보는 2019년 11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연관정보

        해당 여행기사에서 소개된 여행지들이 마음에 드시나요?

        평가를 해주시면 개인화 추천 시 활용하여 최적의 여행지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댓글

        댓글 (건)

        유의사항
        불건전한 댓글의 경우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댓글/답글 등록 시 사용자의
        닉네임, 이미지 (투어원패스대한민국 구석구석
        마이페이지
        명칭 사용)가 함께 표시됩니다.

        AI가 빠르게 요약해주는 사용자 후기!

        AI 요약 서비스는 최근 3년 이내
        작성된
        댓글이 일정한 개수 이상인 경우
        제공됩니다.

        최근 3년 이내 작성된 댓글이
        일정한 개수 이상인 경우
        사용자 후기 요약 정보가 제공됩니다.

        사진 후기

          이벤트 정보입력 및 이벤트 참여 동의

          이벤트 개인정보 수집 · 활용 및 위탁동의

          이벤트 당첨 안내 및 경품 수령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동의 입니다.
          관련 정보는 당첨자 발표일 기준 3개월간 유지되며, 이후 폐기 처리됩니다.

          개인정보 입력 및 수집 이용 (필수)
          • 주소
          • ※ 실물경품 당첨 시 해당 주소로 배송되므로 정확하게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입력으로 인한 당첨 불이익 (경품 미수령, 오배송 등)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활용에 관한 동의 (필수)

          한국관광공사는 이벤트 당첨자 선발 및 안내를 위해 이벤트 참여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참여자의 사전 동의 없이는 개인 정보를 절대로 공개하지 않습니다.

          • 수집 목적 : 이벤트 참여 및 경품 발송
          • 수집 항목 : 이름, 휴대폰 번호
          • 보유 및 이용 기간
            • - 이벤트 참가자 개인 정보 보유, 이용 기간 : 개인 정보 수집, 동의 일로부터 이벤트 종료 시점까지
            • - 이벤트 당첨자 개인 정보 보유, 이용 기간 : 당첨자 발표일 기준 3개월까지 보유 / 경품 배송 완료일까지 이용
          • 개인 정보 파기절차 및 방법

            이용자의 개인 정보는 원칙적으로 개인 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되면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회사의 개인 정보 파기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파기절차
            • - 이용자의 개인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즉시 파기됩니다.
          • (2) 파기방법
            • - 종이에 출력된 개인 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 - 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 개인 정보의 취급 위탁

            회사는 이벤트 경품 제공과 관련하여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해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타 업체에 위탁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위 처리는 이용자가 동의한 개인 정보의 이용 목적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행사 종료 시 일괄 폐기하도록 합니다.

          • - 이벤트 진행 : (주) 유니에스아이엔씨
          • - 이벤트 경품 발송 : ㈜ 티사이언티픽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