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태종대로 떠나기 전날 밤, 문득 '내가 태종대를 언제 가봤지?'라는 의문이 들었다. 너무나 유명한 곳이니만큼 언젠가 다녀왔겠지, 라는 생각에서였다. 한데 도무지 기억이 나질 않는다. 하지만 왠지 낯설지 않은 느낌, 그 느낌이 쉽게 가시질 않는다. 책이나 신문을 통해 혹은 텔레비전을 통해서 접해본 그런 느낌은 절대 아니다. 그렇다면? 기억이 날 듯 말 듯, 시원스레 나오지 않는 재채기처럼, 뒷맛이 영 개운치 않다. 자리에 누워서도 쉽게 잠들 수가 없다. 그렇게 한참을 뒤척이다 우연히 눈에 들어온 것이 책장 한쪽에 꽂혀 있는 낡은 사진첩이었다.
순간, 부산에서 태어나고 또 짧으나마 어린 시절을 그곳에서 보냈으니, 분명 저 사진첩 어딘가에 그 흔적이 남아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사진은 기억을 지배한다'는 그 유명한 광고 카피처럼, 내가 지금 당장은 기억해내지 못해도 저 낡은 사진첩 어딘가에는 그 언젠가의 기록이 남아 있을지도 모르니 말이다. 찾을 수만 있다면, 무엇보다 내 추억 속 깊은 곳에 묻혀 있을 태종대를 먼저 만나보고 싶었다. 그래야 이 개운치 않은 느낌을 훌훌 털어버리고, 보다 의미 있는 여행을 떠날 수 있을 테니 말이다. 다음날 새벽. 아직 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시각, 전날 저녁에 찾아낸 사진 두 장을 챙겨 차에 올랐다. 여행의 목적이 섰으니 이제는 그곳에 가는 일만 남았다. 추억 여행. 나름대로 정해본 이번 여행의 목적이다. 찢어질새라 조심스레 떼어낸 낡은 사진 두 장을 취재수첩에 가만히 끼워 넣고 시동을 건다. 기분 좋은 엔진 소리 그리고 귀에 익은 올드 팝. 거리계를 '0'에 맞추고 액셀 페달을 밟는다. 왕복 820.6km. 아마 여기에 몇십 km는 더해질지도 모를 긴 여정이다.
하지만 상관은 없다. 30년을 훌쩍 넘긴, 그래서 영원히 잊힐 수도 있었던 추억을 찾아 떠나는 길에 그 정도 거리가 무에 문제겠는가. 지루한 고속도로를 달리는 동안에도, 잠깐잠깐 휴게소에 들러 커피 한 잔 마시는 그 짧은 시간에도, 가슴속 작은 설렘은 소풍 가는 아이의 마음처럼 쉽게 가라앉질 않는다. 추억을 좇아 떠나는 여행의 매력이 바로 이런 것일까. 태종대. 너무나 익숙하지만 그래서 더 낯설게 느껴지는 그곳으로 첫발을 들여놓는다. 차근차근 둘러볼 요량으로 발걸음을 최대한 천천히 내딛는다. 많이 변했다. 아니 변한 것 같다. 어디가 어떻게 변했는지 요목조목 집어낼 수는 없지만 분명 많은 것이 변한 건 사실이다. 멀게는 33년, 짧게는 27년 전에 와본 것이 태종대에 대한 내 기억의 전부이고 보니, 변한 게 없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할지 모른다. 태종대는 오륙도와 함께 부산을 대표하는 해안 명승지다. 특히 해안 절벽과 기암괴석이 멋스럽다. 그 아름다움 때문에 예부터 시인과 묵객들이 많이 찾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비단 문인들만이 아니다.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도 이곳 해안의 절경에 심취해 한동안 머물며 활쏘기를 즐겼다 하니, 그 멋스러움에 대해선 더 이상 설명할 필요조차 없어 보인다. 태종대라는 이름 역시 여기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태종대의 대표적 명소를 꼽으라면, 모자상으로 유명한 전망대와 망부석이 있는 신선대 그리고 영도등대 정도다. 하지만 신선대와 영도등대는 거리상 거의 한 장소나 다름없으니, 결국 전망대와 영도등대 두 곳 정도로 압축할 수 있다. 아마도 내 추억 속 사진에 담긴 장소도 이 두 곳이 아닌가 싶다. 태종대유원지의 명소들을 둘러보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우선 깔끔한 순환도로를 따라 걷는 것과 순환열차를 이용하는 것 그리고 유람선을 타고 해상일주를 하는 것이다. 우선은 걸어보기로 한다. 파도가 심상치 않아 해상일주는 포기해야 하지만, 보다 꼼꼼히 둘러보려면 순환열차보다는 걷는 편이 좋겠다는 판단에서다. 한적한 순환도로를 따라 천천히 걷는 기분이 꽤 괜찮다. 4.3km에 이르는 이 순환도로는 지난 2006년 9월 1일 이후 공원 무료화와 함께 일반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고 있어 한적하다 못해 적막할 정도. 유원지 입구 안내판에는 순환도로를 한 바퀴 돌아보는 데 1시간 정도 걸린다고 적혀 있다. 하지만 이곳저곳 천천히 둘러보다 보면 2~3시간이 훌쩍 지나가니 신발끈 단단히 묶고 출발하는 게 좋다. 걷는 게 부담스럽다면 순환열차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다누비'라 이름 붙여진 순환관광열차는 한 번에 96명까지 탑승이 가능하다. 일정 요금(어른 1,5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600원)을 내면 지정된 다섯 군데 정류장에서 횟수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타고 내릴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유원지 내 명소를 둘러볼 수 있다. 이동 중 구수한 입담으로 들려주는 태종대에 얽힌 다양한 정보는 보너스다. 얼마나 걸었을까. 남항조망지에서 부산 남항의 다부진 모습을 구경하고 조금 힘들다 싶을 정도로 걸었을 때, 비로소 인자한 모습으로 두 자녀를 품고 있는 모자상이 시야에 들어온다. 그 뒤로는 타원형 전망대가 떡하니 버티고 섰다. 지금은 식당을 비롯해 각종 편의시설이 들어선 이곳이 바로 자살바위가 있던 곳이다.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오롯이 바다밖에 보이는 것이 없다는 한 관광객의 말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조금은 역설적이지만 '죽음의 두려움을 잊게 할 정도로 아름다운 풍광을 간직한 곳'이라는 표현이 그리 틀린 말 같지는 않아 보인다. 전망대 밑 좁은 통로로 들어서니 드디어 태종대에 얽힌 내 첫 번째 추억의 장소가 나온다. 절벽해안도로라고 적힌 표지판을 따라 걸어 내려간 곳. 원형으로 만들어놓은 통로에서 열일곱 살의 나를 만난다. 25년 전, 아마도 꼭 이즈음이었던 것 같다. 수학여행 때 찾은 태종대, 그 중에서도 자살바위로 유명했던 이곳에서 전망대 뒤로 보이는 생도(주전자섬)를 배경으로 찍은 사진 속에 내가 있다. 한 손을 들어 생도를 받치고 있는 사진에서 꼭 그 또래의 장난기가 묻어난다. 이런저런 생각에 잠긴 사이 나도 모르게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 가슴이 따뜻해진다. 하지만 이젠 걸음을 옮겨야 할 시간이다. 아직 둘러볼 곳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나와 태종대의 첫 만남이 이뤄졌던 곳, 내 손에 들려진 한 장의 흑백사진 속 추억을 더듬어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여섯 살쯤 되었을까. 흑백사진 속 내 모습이 낯설기만 하다. 걸음을 재촉해 도착한 곳은 100년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영도등대. 이곳이 바로 내 사진 속 두 번째, 아니 진정한 의미에선 첫 번째 추억이 남아 있는 곳이다. 1906년 처음 불을 밝힌 영도등대는 지난 2004년 8월 지금의 모습으로 단장하면서 갤러리와 도서관, 해양영상관, 자연사전시실 등 각종 문화시설을 갖춘 개방형 해양문화공간으로 거듭났다. 하지만 그 운치만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시설이 아무리 현대화했어도 가슴속 추억을 거스를 순 없는 법이니까. 추억을 좇아 망부석이 있는 신선대로 발걸음을 옮긴다. 기왕 여기까지 왔으니 사진 속 촬영지를 확인해보고 싶은 마음에서다. 이리저리 자리를 옮기며 카메라 앵글을 확인하는 사이, 어린 아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고 있는 젊은 엄마의 모습이 시선을 끈다. 두 모자의 모습에서 35년이란 세월을 거슬러 낡은 흑백사진 속에 남겨진 부모님과 내 모습을 보았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시간이 흘러 다시 30년이 지난 뒤, 나는 또 어떤 모습으로 이곳을 추억하게 될까. 멋진 등대의 모습을 떠올리게 될까, 아니면 서 있기도 힘들 정도로 불어대던 거친 바닷바람을 떠올리게 될까. 무엇이 되었든 지금까지 그랬듯 그리움으로 돌아볼 수 있는 좋은 추억으로 남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다시 태종대를 찾을 그날까지…. 1.찾아가는길
* 자가운전
대구부산고속도로 대동IC → 모란고가교 → 백양터널 → 수정터널 → 제5부두 서거리에서 태종대 방면 우회전 → 세관삼거리에서 좌회전 → 부산대교 → 봉래교차로에서 좌회전 → 부산저유소삼거리에서 영도 방면 우회전 → 태종대
* 대중교통
[버스] 서울→부산 : 서울고속버스터미널(1688-4700)에서 1일 46회(06:00~익일 02:00) 운행, 4시간 30분 소요 대전→부산 : 대전복합터미널(1577-2259)에서 1일 6회(08:00, 10:00, 12:40, 15:10, 17:00, 19:00) 운행, 3시간 10분 소요 대구→부산 :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1588-6900)에서 1일 26회(06:10~22:20) 운행, 1시간 10분 소요 [기차] 서울→부산 : 서울역(1544-7788)에서 KTX 1일 46회(05:30~23:00) 운행, 2시간 40분 소요 대전→부산 : 대전역(1544-7788)에서 KTX 1일 46회(06:32~22:58) 운행, 1시간 40분 소요
2.맛집
포항물회전문 : 영도구 동삼1동 / 물회 / 051-405-9077 스쿠버횟집 : 영도구 봉래동2가 / 활어회 / 051-413-7530 홍복반점 : 영도구 남항동1가 / 중화요리 / 051-413-0763 제주복국 : 영도구 동삼1동 / 복국 / 051-405-5040
3.숙소
부산비치모텔 : 영도구 동삼2동 / 051-405-3331 에이플러스(A+)모텔 : 해운대구 우동 / 051-731-5007 녹천온천호텔 : 동래구 온천1동 / 051-553-1005 대영호텔 : 중구 부평동2가 / 051-241-4661
- 글, 사진 : 정철훈(여행작가)
※ 위 정보는 2019년 10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