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립미술관 제주시 2009년 제주시에 설립된 도립 미술관으로 460여 점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장리석 화가의 작품 100여 점을 순환 전시하고 제주 작가들의 기획 전시회도 주기적으로 연다. 상세주소 제주시 1100로 2894-78 문의처 064-710-4300 자세히 보기 제주별빛누리공원 제주시 제주에 위치한 천문테마공원으로, 여러 망원경을 갖춰 관람객들이 천체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우주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 및 관람할 수 있다. 상세주소 제주시 선돌목동길 60 문의처 064-728-8900 자세히 보기 서귀포자연휴양림 서귀포시 서귀포자연휴양림은 제주시와 서귀포 중문 관광 단지를 잇는 1100도로 동쪽에 자리 잡고 있는 휴양림으로, 서귀포 시내에서는 차로 30분 정도 소요된다. 한라산 자락 아래 다양한 수종의 원시림 있고, 특히 울창한 편백숲이 있는 제주 최고의 휴양림이다. 피톤치드 가득한 편백 숲속에 야영장이 운영되고 있다. 상세주소 1100로 882 문의처 064-738-4544 자세히 보기 제주추사관 서귀포시 제주추사관은 조선후기 대학자이자 예술가인 추사 김정희 선생의 삶과 학문 예술세계를 기리기 위해 지난 2010년 5월 건립되었다. 추사기념홀을 비롯해 3개의 전시실과 교육실, 수장고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보물 '예산김정희종가유물일괄'을 비롯 '세한도' 영인본과 김정희의 글씨 탁본 및 편지 등을 소장, 전시하고 있다. 상세주소 대정읍 추사로 44 문의처 064-710-6865 자세히 보기 정방폭포 서귀포시 정방폭포는 천지연, 천제연과 더불어 제주도 내 3대 폭포 중 하나로, 서귀포시 중심가에서 약 1.5km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동양 유일의 해안 폭포로서 높이 23m, 폭 8m, 깊이 5m에 이른다. 웅장한 폭포음과 쏟아지는 물줄기에 햇빛이 반사되면, 일곱 색깔의 무지개가 푸른 바다와 함께 어우러져 신비의 황홀경을 연출한다. 상세주소 칠십리로214번길 37 문의처 064-733-1530 자세히 보기 삼양선사유적지 제주시 삼양동 선사유적은 기원전·후 1세기를 중심으로 한 시기의 집자리 약 230여기가 확인된 대단위 마을 유적이다. 이 마을 안에는 크고 작은 집자리, 창고, 저장공, 야외 토기요지, 불 땐 자리, 마을공간을 구획한 돌담과 배수로, 폐기장, 조개무지, 고인돌 등이 확인되었다. 상세주소 선사로2길 13 문의처 064-710-6806 자세히 보기 제주목관아지 제주시 탐라국 이래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제주 행정의 중추 역할을 했던 제주목 관아지는 지금의 관덕정을 포함하는 주변일대에 분포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관아시설은 1434년 관부의 화재로 건물이 모두 불 타 없어진 뒤 조선시대 내내 중.개축이 이루어졌다. 그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대부분이 소실되었고 1993년 제주목 관아지 일대를 국가 사적으로 지정한 후 발굴, 고증 등의 노력을 거쳐 2002년 12월에 복원 완료했다. 상세주소 관덕로 25 문의처 064-710-6717 자세히 보기 천지연폭포 서귀포시 천지연 폭포는 높이가 약 22m, 폭이 12m이며, 폭포아래는 수심이 20m에 이르는 웅덩이가 있는 경승지이다. 폭포 일대는 뛰어난 계곡미로도 제주에서 손꼽히는 곳인데, 이 계곡에는 아열대성·난대성의 각종 상록수와 양치식물 등이 밀생하는 울창한 숲을 이룬다. 상세주소 천지동 문의처 064-733-1528 자세히 보기 감귤박물관 서귀포시 제주특산물인 감귤을 테마로 감귤의 세계를 한눈에 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개관한 공립전문박물관으로 감귤의 역사와 문화, 산업과 노동현장을 엿볼 수 있는 장소이다. 상세주소 효돈순환로 441 문의처 064-760-6400~1 자세히 보기 천제연폭포 서귀포시 천제연폭포는 옥황상제를 모시는 칠선녀가 한밤 중 내려와 맑은 물에 미역 감고 노닐다 올라간다고 하여 천제연(天帝淵) 곧 하느님의 못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유래가 있다. 울창한 난대림지대 사이로 3단 폭포가 떨어지는 모습이 장관이다. 상세주소 천제연로 132 문의처 064-760-6331 자세히 보기 절물자연휴양림 제주시 절물자연휴양림은 삼나무가 주종을 이루는 힐링명소이다. 절물은 근처에 약효가 좋은 물이 난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며, 이전에 가뭄 때도 물이 마르지 않아 주민들이 식수로 이용했다고 할 정도로 수량이 풍부하다. 상세주소 명림로 584 문의처 064-728-1510 자세히 보기 마라해양도립공원 서귀포시 마라도는 대한민국 국토의 최남단에 떠 있는 섬이다. 면적 0.3㎢의 이 섬은 해안이 가파른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풍광이 수려하다. 30여 가구 80여 명의 주민들은 어업에 종사하며, 모슬포항과 산수이수동 선착장에서 정기여객선과 관광유람선이 수차례 왕복 운항한다. 상세주소 대정읍 마라로101번길 46 문의처 064-760-4014 자세히 보기 서복전시관 서귀포시 서복전시관은 중국 진나라 때 진시황의 불로장생의 꿈을 이루기 위해 불로초를 찾아 제주로 왔다고 전해지는 서복을 기념하여 만든 전시관이다. 서복상을 비롯해 진시황릉의 청동마차, 병마용 등 관련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상세주소 칠십리로 156-8(서귀동) 문의처 064-760-6361 자세히 보기 function travelweekgasave(action, title) { ga('send', 'event', '여행가는 가을 추천 관광지_리스트', action, title, 1);} .fullscreen-container { width: 100vw; margin-left: calc(-50vw + 50%);} .recommended-travel { overflow: hidden; padding: 60px 15px 90px; background: #f3eae3;}.recommended-travel > div { overflow: hidden; max-width: 940px; margin: 0 auto;}.recommended-travel > div > div { display: flex; flex-wrap: wrap; margin: -20px -10px 0;}.recommended-travel article { position: relative; width: calc(33.33333333333333% - 20px); margin: 20px 10px 0; border: 3px solid #ef5f31; border-radius: 10px; background: #fff; box-sizing: border-box;}.recommended-travel header { position: relative; height: 130px; padding: 70px 10px 0; background: #ef5f31; color: #fff; font-weight: 700; text-align: center; box-sizing: border-box;}.recommended-travel h3 { margin: 0; color: #fff; font-weight: 700; font-size: 22px; line-height: 1.2;}.recommended-travel header p { position: absolute; top: 30px; right: 10px; left: 10px;}.recommended-travel header span {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30px; border-radius: 10px; background: #cf4427; font-size: 18px; line-height: 30px;}.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 padding: 10px 10px 140px; letter-spacing: -0.025em; box-sizing: border-box;}.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p:first-child { color: #333; font-size: 16px; line-height: 1.5; text-align: center;}.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l { position: absolute; bottom: 55px; left: 0; width: 100%; min-height: 65px; color: #cf4427; font-weight: 400; font-size: 15px; line-height: 1.5; text-align: center;}.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t,.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d { display: inline;}.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t { white-space: nowrap;}.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t::after { content: : ;}.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p:last-child { position: absolute; bottom: 20px; left: 0; width: 100%; text-align: center;}.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p:last-child a { display: inline-block; border-bottom: 4px solid #cf4427; color: #000000; font-size: 20px; line-height: 32px; vertical-align: top;}@media all and (max-width: 860px) { .recommended-travel { padding-top: 30px; padding-bottom: 60px; } .recommended-travel > div > div { margin: -10px -5px 0; } .recommended-travel article { width: calc(50% - 10px); margin: 10px 5px 0; }}@media all and (max-width: 576px) { .recommended-travel > div > div { margin: -10px 0 0; } .recommended-travel article { width: auto; margin: 10px 0 0; }} .recommended-travel article:hover { background: #fec77e;}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