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재동과 이어진 과천에는 체험거리 많은 박물관이 있다. 서예의 대가 추사 김정희의 일생과 서예작품들을 만날 수 있는 추사박물관이다. 문화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서예체험도 할 수 있어 체험학습장으로 훌륭하다. 과학의 원리를 배우고 몸으로 체험하는 국립과천과학관도 가까이 있다.
추사 김정희(1786~1856)라는 이름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의 생애는 ‘추사체’라는 커다란 족적에 가려 있다. 예서, 전서, 초서, 해서, 행서 등 서예의 기본 서체 외에 특별히 추사체는 김정희의 글씨체를 말한다. 두께를 달리하며 그어나가는 획과 비틀어진 듯 보이는 글자들이 파격적이어서 마치 그림 같은 느낌을 주는 서체다. 추사는 금석학의 대가로 청나라에까지 이름을 떨쳤고, 당대의 문인, 승려들과 교우하며 수많은 서예작품을 남겼다. 전국의 고찰이나 유적지에서 추사의 글씨를 많이 만날 수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경기도 과천시에 자리한 추사박물관은 출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김정희의 생애와 작품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전시물만 대충 훑어보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문화해설사의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을 들으며 돌아볼 수 있어 더욱 의미 있다. 박물관 여행은 매표소가 있는 1층을 지나 2층 ‘추사의 생애실’에서 출발한다. 긴 눈매가 인상적인 추사의 초상화가 가장 먼저 관람객을 맞는다. 눈가에 주름을 잡으며 웃고 있지만 강한 성격과 위엄이 느껴지는 얼굴이다. 추사의 증조모는 영조의 딸 화순옹주다. 추사는 여덟 살 어린나이에 후손이 없는 큰아버지의 양자로 갔는데, 이때 생부 김노경의 안부를 묻는 편지가 전시되어 있다. 지금으로 치면 초등학교 1학년생의 글씨다. 또박또박 써내려간 글자에 아버지와 동생들의 안부를 묻는 의젓함이 그대로 나타나는 편지다. 북학파의 대가인 박제가의 제자로, 아버지의 청국 사행에 동행하며 금석학에 눈을 뜨는 과정도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연경에 머물며 금석학의 대가로 꼽히던 옹방강, 완원 등과 사제의 연을 맺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후 추사는 금석학에 매진하여 무학대사가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던 북한산의 비석이 신라시대 진흥왕순수비임을 밝혀낸다. 이후 관직에 나아가 성균관대사성과 이조참판을 역임했다. 1840년 윤상도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를 갔는데, 당시 머물렀던 서귀포 유배지를 모형으로 만날 수 있다. 제주에서 보낸 8년의 유배 기간 동안 추사체를 완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귀포 유배지 모형 옆에는 교과서에도 실린 <세한도>가 길게 이어져 있다. <세한도>가 그려지게 된 사연도 특별하다. <세한도>는 제주 유배 당시 제자였던 이상적에게 선물로 그려준 것이다. 이상적은 청나라에 드나들던 통역관으로, 유배지 밖으로 벗어날 수 없어 오직 서책과 벗하며 지내던 추사에게 청나라의 최신 서적을 구해주던 인물이다. 추사는 어렵게 구한 책을 힘없는 자신에게 보내주는 이상적의 마음에 눈시울을 적시며 《논어》에 나오는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라는 구절을 떠올렸다. “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는 의미이다. 어려운 지경이 되어서야 고마움을 알게 되었음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세한도>를 보면 아무 장식 없는 집 한 채와 그 곁에 두 그루 소나무가 서 있다. 그중 거침없이 우뚝 선 소나무는 이상적을, 그 나무에 기대어 의지하는 듯 보이는 늙은 소나무는 추사 자신을 표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세한도>는 하나의 그림이지만 실제로는 <세한도> 옆으로 긴 명문들이 이어지는데 그 길이가 몇 미터에 이른다. <세한도>를 선물로 받은 이상적이 청나라 사람들에게 보여주었고, 그림을 본 이들이 그 감상을 적은 글이다. 전시실에서 눈길을 끄는 또 하나의 전시물은 봉은사에 걸린 편액이다. ‘판전(板展)’이라 쓴 편액으로 서울 강남구 봉은사 장경각에 걸린 것을 복각한 것이다. 추사의 글씨로는 보이지 않는, 마치 서예를 막 배우기 시작한 초보자가 쓴 글씨 같다. 어떤 기교나 멋이 보이지 않고 순수함이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왼편에 덧붙인 일곱 글자가 궁금증을 씻어준다. “칠십일수병중작(七十一壽病中作)”. “칠십 나이 병중에 쓰다”라는 의미로 추사는 ‘편전’ 두 글자를 쓰고 나흘 뒤 세상을 떴다. 죽음을 앞둔 몸으로 기꺼이 일어나 앉아 붓을 든 것이다. 추사의 생애와 작품을 정리한 영상물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전시실 끝에 있어 조용히 앉아 추사의 삶을 다시 음미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전시실을 나오면 박물관 벽면에 새겨진 <불이선란도>와 그에 얽힌 일화도 재미있으니 문화해설사의 설명을 귀담아 들어보자. 지하 1층 체험실에서는 컴퓨터 모니터를 보며 추사의 글씨 따라 쓰기, 난 치기, <세한도>와 <불이선란도> 탁본체험도 할 수 있다. 추사 연구가인 일본인 후지츠카 치카시가 기증한 유물을 전시한 공간도 있다. 박물관 야외에 복원해놓은 과지초당은 추사가 세상을 뜨기 전까지 4년 동안 머물렀던 별장이다. 추사의 작품들 중 상당수가 이곳에서 쓰인 것으로 전해진다. 추사박물관에서는 겨울방학을 맞아 ‘응답하라 추사 김정희’라는 테마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니 미리 홈페이지를 방문하고 찾아가기를 권한다. 추사박물관과 가까운 거리에 국립과천과학관이 있다. 몸으로 느끼고 배우는 과학 체험공간으로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스페이스월드와 천체투영관, 곤충생태관 등이 있고, 과학관 본관 전시실에서는 특별한 체험도 이루어진다. 오전 9시 30분과 오후 3시에 현장 발권 시스템을 이용해 체험 티켓을 받아야 하는데, 주말과 휴일에는 서둘러야 할 정도로 인기가 많다. 국립과천과학관 지척에는 한국카메라박물관이 자리했다. 카메라가 처음 등장한 1839년부터 2000년까지 세상에 나온 3,000여 대의 카메라와 6,000여 개의 렌즈, 각종 액세서리 등 1만 5,000여 점의 카메라 기기들을 소장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카메라 전문 박물관이다. 방아쇠를 당기면 셔터가 작동되는 희귀 카메라부터 티크 원목으로 제작된 1909년의 카메라, 카메라의 원형이 된 라이카 카메라의 변천사까지 살펴볼 수 있어 사진 애호가라면 꼭 한번 들러봐야 할 공간이다. 박물관에 전시된 모든 카메라의 주인이자 관장인 사진작가 김종세 씨의 작품을 볼 수 있는 갤러리도 특별하다. 추사박물관 주소 : 경기 과천시 추사로 78 문의 : 02-2150-3650, www.chusamuseum.go.kr 국립과천과학관 주소 : 경기 과천시 상하벌로 110 문의 : 02-3677-1500, www.sciencecenter.go.kr 한국카메라박물관 주소 : 경기 과천시 대공원광장로 8 문의 : 02-502-4123, www.kcpm.or.kr 1.찾아가는길 * 자가운전 경부고속도로 양재IC → 과천 방면 → 코스트코 사거리 → 주암동 방면 좌회전 → 추사로 → 추사박물관 * 대중교통 지하철 4호선 선바위역 1번 출구로 나와 일반 버스 11-7번 또는 시영버스 1, 2번을 타고 추사박물관(동산교회) 정류장에서 하차 지하철 3호선 양재역 9번 출구로 나와 일반 버스 11-7번을 타고 추사박물관(동산교회) 정류장에서 하차 2.주변 음식점 서라벌 : 송이샤브샤브 / 과천시 별양상가로 2 / 02-502-8384 김대감집 : 바비큐, 수육 / 과천시 샛말로 30 / 02-507-5850 경마장오리집 : 유황오리진흙구이 / 과천시 궁말로 20-4 / 02-502-7500 3.숙소 그레이스호텔 : 과천시 별양상가로 2 / 02-504-6700 http://hotelgrace6700.tnaru.net/web/index 글, 사진 : 박성원(여행작가) ※ 위 정보는 2014년 4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