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괴산군 괴산읍 일대는 소설 《임꺽정》을 지은 벽초 홍명희 선생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다. 항일독립만세운동으로 옥살이를 했고 언론인, 소설가, 사회운동가로도 활동한 선생은 월북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그 이름조차 입에 올리면 안 되는 월북문인이 되었다. 월북문인 해금 조치에 따라 1980년대 중반 국내에 다시 소개된 《임꺽정》은 대중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홍명희 선생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 산천, 괴산읍내 일대를 돌아본다. 33도를 육박하는 기온에 가만히 서 있어도 땀이 난다. 쨍쨍한 햇볕 아래 기와 얹은 고택 앞에 선다. 괴산읍 동부리에 있는 홍범식 고택은 작가 홍명희(1888~1968)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홍명희의 아버지 홍범식은 금산군수로 있던 1910년에 일본이 나라를 강제로 빼앗자 자결한 인물이다. 고택 옆에는 홍범식 선생의 뜻을 기리는 비석이 서 있다. 비석을 뒤로하고 고택 대문을 열고 들어간다. 이 집은 조선 영조 때인 1730년경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이후 1800년대 중반에 증축했고, 1920년에 주인이 바뀌었다. 생가는 전형적인 중부지방 양반집의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문간채와 행랑채가 있으며 중문이 안채와 사랑채를 나누고 있는 구조다. 정남향으로 지어진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6칸의 ‘ㄷ’자형이다. 안채 앞에 ‘ㅡ’자형 광이 있어 위에서 보면 ‘ㅁ’자 형태로 보인다. 사랑채는 홍명희 선생 등이 1919년 3월 19일 일제에 항거하고 민족의 독립을 위해 일어났던 괴산만세운동을 준비한 곳이기도 하다. 홍명희 생가는 다른 사람의 소유가 되었다가 선생의 생가를 복원해야 한다는 뜻이 모아지면서 1997년 ‘홍범식·홍명희 생가 보전위원회 괴산 모임’이 만들어졌다. 이후 복원을 위한 꾸준한 노력 덕분에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약 3,300㎡ 대지에 안채, 사랑채, 아래사랑채, 중문, 대문채, 장독대, 광채, 김치광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집은 건축사적 중요성도 있지만 문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충북 최초의 만세운동 본거지라는 점에서도 문화재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14호로 지정됐다. 고택은 돌담과 기와지붕이 어우러져 그 자체로 따듯한 정서를 자아낸다. 툇마루에 앉아 마당에 고인 햇볕을 바라본다. 담 아래 자라난 풀이 푸르다. 하얀 꽃이 장독대 항아리와 잘 어울린다. 천천히 걸으며 고택 이곳저곳을 돌아본다. 고택을 나와 다리를 건너 오른쪽으로 조금만 가면 큰길 왼쪽에 느티나무가 보인다. 그 나무 아래 만세운동유적비가 있다. 홍명희 선생 등은 1919년 3월 19일 유적비가 세워진 이곳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일으켰다. 당시 이곳은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던 장터였다. 홍명희 선생은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일로 1년 6개월간 옥살이를 한다. 옥에서 나온 선생은 동부리 집에서 3.8km 떨어진 제월리로 이사를 하게 된다.제월리 365번지를 찾아가면 홍명희 고택이 있다. 이정표가 없어 내비게이션에 주소를 찍어 찾아갔다. 집 앞에도 홍명희 선생과 관련된 집이라는 표시가 없다. 대문 없는 집 마당에 들어서면 바로 옛 건물 한 채가 나온다. 옛날 집 본채에 딸린 사랑채 건물이다. 본채는 완전히 사라지고 없는데 그 자리에 작은 정원을 꾸몄다. 정원 한쪽에 ‘우리문화기림회’가 세운 표지석이 이곳이 홍명희 선생이 살던 곳임을 알려주고 있다. 선생은 1924년 서울로 이사할 때까지 이곳에서 살았다.선생은 1928년부터 《임꺽정》을 집필했으니 괴산에서 살 때는 작품활동과 큰 연관이 없다. 하지만 선생의 강인한 품성과 문학성 감성을 키워준 것은 고향 괴산의 자연이다. 제월리 집 부근에 선생이 즐겨 찾던 제월대가 있다. 선생은 제월대 아래를 흐르는 괴강 물줄기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사색하기를 즐겼다고 한다. 지금 그곳에는 선생의 뜻을 기리는 문학비가 있다. 제월리 집에서 ‘벽초 홍명희 문학비’가 있는 제월대까지는 약 1km 거리다. 제월대 주차장 한쪽에 문학비가 보인다. 홍명희 선생의 월북과 북한에서의 행적 등으로 인해 문학비 건립 자체를 놓고 찬성과 반대 의견이 강하게 대립했다. 1998년에 문학비를 세웠으나 철거됐고, 이후 협의를 거쳐 2000년에 지금의 자리에 다시 문학비를 건립하게 됐다. 문학비 글씨는 신영복 선생이 썼다. 문학비 글씨는 신영복 선생이 썼다. 중국 상해에서 박은식․신채호 선생 등과 함께 독립운동의 방향을 모색했으며, 1919년 괴산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한 일과 항일운동단체인 신간회를 결성한 일, 1928년부터 10여 년에 걸쳐 조선일보에 소설 《임꺽정》을 연재했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임꺽정》은 조선시대 백정 임꺽정을 주인공으로 당시 백성들의 삶을 잘 묘사한 대하소설이다. 조선일보 연재 당시에도 큰 인기를 끌었던 작품이다. 글의 분량이나 내용으로도 다른 작품보다 월등하게 뛰어난 최고의 대하소설로 인정받았다. 해방 직후 단행본으로 출판되기도 했지만, 월북 이후에는 작품은 물론 홍명희라는 이름도 입에 올릴 수 없게 됐다. 월북문인 작품 해금 조치에 따라 1980년대 중반 다시 출판되면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문학비 앞에는 고산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정자로 올라가는 길에 소나무 숲이 보기 좋다. 정자에 올라서면 괴강 물줄기가 굽이치며 흐르는 풍경을 볼 수 있다. 이곳이 제월대다. 제월대 절벽 위에 선 고산정은 선조 29년에 충청도 관찰사 유근이 세운 정자다. 유근은 이곳에 만송정과 고산정사를 짓고 광해군 때 낙향하여 은거했다. 숙종 2년에 고산정사는 불타 없어지고 만송정만 남았는데 이를 두고 고산정이라 불렀다. 주차장으로 내려와서 강가로 내려가는 길로 접어든다. 선생도 이 길을 따라 강가로 내려갔을 것이다. 물줄기 굽이쳐 흐르는 그곳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눈앞에 펼쳐진 풍경을 바라보며 아마도 소설 《임꺽정》을 구상하지 않았을까. 벽초 홍명희 생가 주소 : 충북 괴산군 괴산읍 임꺽정로 16
문의 : 043-830-3432 (괴산군청 문화관광과)
1.주변 음식점
주차장식당 : 올갱이국 / 괴산군 괴산읍 읍내로 282 / 043-832-2673
맛식당 : 올갱이국 / 괴산군 괴산읍 괴강로 12 / 043-833-1580
우리매운탕 : 매운탕 / 괴산군 괴산읍 괴강로느티울길 8-2 / 043-834-0005
2.숙소
호텔웨스트오브가나안 : 괴산군 연풍면 수옥정길 175-1 / 043-833-8814
http://www.westofcanaan.com/
글, 사진 : 장태동(여행작가)
※ 위 정보는 2013년 6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