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경기 양주 회암사지는 5학년 2학기 3단원에 소개된 ‘유교 문화가 발달한 조선’에서 조선 초 왕실의 불교숭상문화에 반한 유학자들의 정면충돌이 있었던 역사현장이다. 한 나라가 망하고 새로운 나라가 생기는, 200년이라는 시간의 한 가운데 있던 절이 있다. 절은 부처님의 힘을 필요로 하는 인간을 도와 권력을 휘둘렀고, 그 힘에 반하는 세력에 의해 불에 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새롭게 세워졌던 그 나라조차 없어진 지금, 이제 절은 빈 터로만 남아 인간의 탐욕이 얼마나 부질없는지를 말없이 보여준다. 회암사는 천보산을 주산으로 삼고 야트막한 안산너머로 불곡산과 삼각산을 조산으로 삼고 있다. 안산 아래로 골재공장과 비닐하우스가 있어서 몰풍정하지만, 맨 처음 터를 잡았을 때의 산천은 변함이 없다. 아늑하고 편안하면서도 기상이 넘친다. 회암사가 정확히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으나,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고려 명종 4년 (1174년) 금나라의 사신이 회암사에 왕래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12세기쯤 창건된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당시는 작은 규모였을 것이고, 1328년 인도승려 지공대사와 그의 제자 나옹선사에 의해 대사찰로 중창되었다. 고려 말에 목은 이색이 쓴<천보산회암사수조기>를 보면 총 262칸에 전각들로 이루어진 가람은 동방에 제일이며, 법당에는 15척(4.5m)의 불상 7구와 10척(3m)의 관음상이 봉안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 회암사가 불탄 뒤로 버려졌고, 지금은 흩어진 돌무더기와 주춧돌뿐, 발굴 조사 작업이 한창인 역사현장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는 나옹의 제자인 무학대사를 회암사에 머무르게 하여 불사가 있을 때마다 대신을 보내 찬례토록 하였으며, 왕 위에서 물러난 뒤에는 친히 회암사에 머물면서 수도생활을 했다. 그 뒤로도 회암사는 조선 왕실과 지속적인 인연을 맺어오다가 명종 때 보우대사가 머물면서 다시 번창하게 된다. 하지만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후원으로 기세를 올리던 보우는 문정왕후가 죽은 뒤로 제주도로 유배되어 살해되었고, 문정왕후와 보우에 대한 유생들의 반감이 회암사를 폐사시켰다. 명종실록에는 유생들이 회암사를 불 지르려 한다는 기록이, 선조실록에는 회암사 옛터에 불탄 종이 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렇게 명종과 선조 사이, 전국 제일의 수선도량(修禪道場)이었던 회암사는 그 운명을 다하였다. 회암사는 조선 유교와 불교의 극명한 대결 현장이었던 셈이다. 폐사지 맨 앞쪽에 있는 사각기둥 당간 지주를 쓸어보다가, 폐사지 가장 안쪽에 있는 우람한 부도탑을 살펴본 뒤 무학대사(1327-1405)의 부도가 있는 산중턱을 올라갈 수도 있다. 그런데 먼저 천보산 산자락을 살펴보고 폐사지를 멀리서 바라보면, 폐사지 좌우로 팔걸이 같은 언덕이 길게 뻗어내려 있음을 볼 수 있다. 소위 좌청룡 우백호다. 좌청룡에 끝자락에는 무덤 한 기가 얹혀 있는데, 무덤의 후손들은 그곳이 명당이라고 본 듯하다. 회암사지에서 천보산 정상 쪽으로 700m쯤 올라가면 또 하나의 회암사가 나온다. 1828년에 경기지방 승려들이 신축한 것이다. 이 절 옆에는 회암사를 중창했던 지공과 나옹의 부도가 있고, 이성계를 도왔던 무학대사의 부도가 있다. 천보산 자락이 흘러내린 혈처(혈이 맺히는 곳)에 무학대사의 부도가 있다. 좌청룡 우백호가 있고, 명당수가 바로 앞으로 흘러가고 있는 무학대사의 부도 뒤쪽으로 지공과 나옹의 부도도 있다. 나옹선사가 회암사를 262칸의 대찰로 중창했을 때, 전국 각지 신자들이 회암사로 몰려들었다. 고려 왕실은 나옹선사의 영향력이 너무 커질 것을 우려하여 나옹선사를 경상도의 외진 절로 옮겨가도록 했다. 하지만 나옹선사는 남한강을 따라 경상도로 내려가다가 병을 얻어 여주 신륵사에 머물다가 입적했다. 하여, 신륵사에 나옹선사의 부도와 이색이 쓴 부도비가 있는데, 회암사의 제자들은 나옹선사를 기리기 위해 회암사에 또 하나의 부도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 지공대사의 부도 자리는 특별해 보이지는 않지만 나옹선사의 부도자리는 또 다른 명당처로 보여 진다. 나옹화상의 부도 뒤 쪽으로는 천보산의 바윗덩어리들이 보이는데 부도에 접근하면서 흙산으로 박환(剝換,거칠고 정제되지 못 한 기운을 벗고 유연하고 순화된 기운으로 바뀌는 과정)되고 있다. 어떻게 해서 무학, 지공, 나옹 순으로 부도비가 놓였는지는 알기 어렵다. 왜냐하면 지공의 제자가 나옹이고, 나옹의 제자가 무학이기 때문이다. 즉, 손자 위에 할아버지가 있고, 할아버지 위에 아들 부도가 있는 격이다. 다만 부도가 명당에 자리 잡고 있어 수난을 당했던 적이 있는데, 그때 달라진 것은 아닐까 추측한다. 조선 순조 때 광주 유생 이응준이라는 사람이 이 부도를 무너뜨리고 자기 조상묘를 쓴 적이 있었는데, 7년 뒤 이 사실을 나라에서 알게 되어 이응준은 처형되고 부도들이 제 자리를 찾게 되었다고 한다. 회암사는 유교사회를 지향했던 조선시대에 왕실의 적극적 후원을 입은 조선최대의 왕실사찰로 우리 불교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 지금은 비록 찬란했던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없지만, 양주 회암사지 박물관에서 절터에 남아있는 유구를 통해 당시 회암사의 위상을 상상해보자. 1층 회암사 대가람에서는 고려 말, 조선 초 최대의 왕실사찰이었던 회암사의 규모와 가치를 보여주는 복원모형 및 영상을 볼 수 있다. 2층 상설전시실은 회암사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설명하는 공간으로, 회암사의 불교문화와 생활, 건축문화를 살펴보면서 억불정책으로 사라진 회암사의 역사를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양주 회암사지 -주소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 양주 회암사지 박물관 -주소 :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길 11 -문의 : 031-8082-4187 https://www.yangju.go.kr/museum/index.do ※ 위 정보는 2016년 9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