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수
본문 내용
흔히 한반도의 역사를 오천 년 , 조선 왕조를 오백 년이라고 한다 . 그럼 왠지 오백 년 , 천 년 된 고택들도 많을 법도 한데 , 안타깝게도 300 년을 넘긴 고택은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 따라서 300 년 이상 된 고택의 가치는 더 소중하다 . 우리 조상들의 생활상을 알려주는 귀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 이 글에서는 역사를 보존 , 계승하면서 현대적 가치를 창출하는 한 고택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 화순 양참사댁은 1720 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택으로 , 1984 년에 ‘ 양동호 가옥 ’ 이라는 이름으로 중요민속문화재 제 152 호로 지정되었다 . 그러다가 2017 년에 양참사댁으로 이름이 변경되고 , 2018 년에 국가민속문화재로 문화재 지정명칭이 변경되었다 . 고택은 그 집의 후손들이 관리하는 게 대부분이지만 , 이곳은 특이하게도 다른 이들이 인수하여 관리한다 . 지금의 주인은 조형식 , 손영자 선생 부부인데 , 이들 가족의 이야기도 특별하다 . 조형식 선생은 독립운동가 조경환 선생의 3 대손이다 . 조경환 선생은 일제에 맞서 싸웠던 의병장으로 , 호남창의대의 대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인물이다 . 조형식 선생 부부와 그의 여식 조아애 씨는 조경환 선생이 일제에 맞서 싸웠던 것처럼 지금의 후손들은 잊혀 가는 전통문화를 계승하고자 한다 . 조아애 씨는 큐레이터이자 문화기획자로 , 고택에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문화예술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 과거 양참사댁은 문간채 , 우물터 , 곳간채 , 광채 등이 존재하였으나 , 그 건물이 유실되어 현재는 총 세 채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 ‘ ㄷ ’ 자형 안채와 ‘ 一 ’ 자형 사랑채가 ‘ ㅁ ’ 자를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남도 양반 주택의 형태를 띠고 있다 . 양참사댁이 자리한 전남 화순 달아실 마을은 제주 양씨 집성촌으로 , 옹기종기 모인 기와집과 논밭이 어우러져 옛 정취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곳이다 .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옆에 보이는 곳이 사랑채다 . 사랑채는 집안에서 쓰던 오래된 병풍 , 조각보 커튼 등으로 한국 전통의 단아한 멋이 살도록 꾸몄다 . 사랑채에는 대청방과 침대방 , 2 개 객실이 있다 . 대청방은 최대 6 인까지 머물 수 있는 온돌방이고 , 대청마루가 딸려 있어 , 마루에 풀과 나무가 푸른 마당을 내다볼 수 있다 . 침대방은 온돌방에 더블베드가 놓여 있고 최대 6 인까지 묵을 수 있다 . 침대방이지만 침구가 전통적인 디자인이라 전통과 현대 감각이 절묘하게 조화된 느낌이다 . 대청방 같은 마루는 없지만 큰 창문 너머로 뜰이 보여 답답하지 않고 시원하다 . 고택 체험은 하고 싶지만 , 침대의 편안함도 포기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 안채는 객실이 3 개로 , 전통미를 살린 사랑채와는 대조되게 모던한 스칸디나비아풍 가구와 조명 , 소품을 활용하는 동시에 , 빈티지 소품과 폐선박에서 뜯어낸 나무로 만든 테이블로 빈티지와 모던한 매력을 함께 녹여냈다 . 이러한 특징이 가장 잘 반영된 곳이 안방이다 . 침실에는 한국적인 침구와 빈티지 화장대 , 의자 , 조명이 어우러져 있고 , 대청에는 폐선박에서 뜯어낸 목재로 만든 테이블이 중앙을 채우고 있다 . 그 주변에 배치된 가구와 조명 , 소품이 한옥 고유의 멋과 묘한 조화를 이룬다 . 안방은 최대 6 인까지 묵을 수 있다 . 작은대청방과 작은방은 최대 3 인까지 묵을 수 있는 아담한 온돌방이다 . 양참사댁 객실 안에서는 취사가 불가능하다 . 하지만 집기가 구비된 공동 주방이 있다 . 이 주방도 매력적인 공간인 게 , 부엌에 원래 있던 아궁이는 그대로 두어 전통미를 살리면서도 싱크대와 테이블 등 편리한 시설이 갖춰져 있고 , 주인 가족이 직접 제작한 조명이 분위기를 한껏 살린다 . 객실에 화장실은 없다 . 양참사댁은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어 , 내부에 화장실을 설치할 수 없다고 한다 . 외부에 성별이 분리된 현대식 화장실과 욕실이 있다 . 조금 귀찮기는 하지만 . 잠깐의 불편함만 감수하면 그 이상의 즐거움과 가치를 얻을 수 있다 . 양참사댁은 한옥 스테이 외에도 문화 행사나 가족 행사 등을 위한 공간으로도 대관한다 . 이색적인 파티나 잔치 , 결혼식이나 스냅 촬영 장소로도 매력적이다 . 고택의 변신은 무죄 . 300 년 동안 거친 풍파를 견뎌낸 집이 보존되어 후손들에게 쉼터가 되어 준다는 건 전통과 역사의 가치를 지키고 , 후에도 길이 남을 문화를 만드는 사람들 덕이 아닐까 . 이곳이 어떻게 변모해 갈지 관심이 생겼다면 한 번쯤 찾아가 보는 것은 어떨까 . ※ Accommodation - 사랑채 대청방 : 대청마루가 딸린 온돌방 . 대청마루에서 마당이 내다보인다 . 기준인원 4 인 , 최대 6 인 . - 사랑채 침대방 : 더블베드가 마련된 온돌방 . 침대가 있지만 , 침구가 예스러워 전통미가 살아있다 . 기준인원 4 인 . 최대 6 인 . - 안채 안방 : 편백으로 마감된 온돌방 . 전통미와 현대미가 조화되어 있다 . 기준인원 4 인 , 최대 6 인 . - 안채 작은대청방 : 아담한 대청마루가 있는 온돌방 . 기준인원 2 인 , 최대 3 인 . - 안채 작은방 : 아담한 대청마루가 있는 온돌방 . 기준인원 2 인 . 최대 3 인 . ※ Travel information - 위 치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달아실길 24 - 가격 : 10 만 ~15 만 원 - 전화번호 : 010-9646-5087 - 양참사댁 홈페이지 ※ 찾아가기 1. 승용차 이용 경부고속도로 -> 천안논산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 산월 IC -> 제 2 순환도로 -> 지강로 -> 지석로 2. 고속버스 이용 센트럴시티호남선 -> 능주버스정류장 -> 정남리 정류장 318-1 월곡 1 구 정류장 3. 기차 이용 용산역에서 능주역 ( 으 ) 로 이동 -> 능주고 정류장까지 약 365m 이동 -> 318-1( 월곡 . 도암 . 중장터 . 능주 )( 능주고 ) 승차 후 , 월곡 1 구 정류장에서 하차 -> 도보 4 분 4. 픽업 여부 : 가능 ( 광주터미널 & KTX 광주 송정역 / 사전예약 ) ※ 인근 여행지 - 화순 8 경 제 1 경 화순적벽 옹성산 ( 瓮城山 ) 의 서쪽 절벽이 동복천 물염 ( 勿染 ) 에서 물에 비치는 경치를 말한다 . 옹성산 서쪽 기슭은 침식과 풍화작용으로 절리 ( 節理 ) 를 이룬데다가 , 물염에서 내려오는 푸른 물이 영신천 ( 靈神川 ) 에서 내려오는 물과 합류하는 곳에 비치는 수백 미터의 깎아 세운 듯한 절벽이 절경을 이룬다 . - 제 2 경 화순 운주사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천불산 ( 千佛山 또는 靈龜山 ) 기슭에 있는 사찰로 , 대한불교조계종 제 21 교구 송광사 말사 . 운주사의 대표적 유물은 운주사 9 층 석탑 ( 보물 제 796 호 ), 석조불감 ( 보물 제 797 호 ),· 원형다층석탑 ( 보물 제 798 호 ), 와형 석조 여래불 ( 전남유형문화재 제 273 호 ) 을 비롯해 총 16 건의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 제 3 경 백아산 하늘다리 ‘ 흰 백 ’ 에 ‘ 거위 아 ’ 자 . 이름처럼 하얀 바위 봉우리들이 능선을 따라 늘어서 있다 . 하늘다리는 백아산 마당바위와 절터 바위를 잇는 다리다 . 총 길이 66m, 폭 1.2m 의 다리로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는 인원은 130 명이다 . 다리 중앙에 투명유리로 조망창을 만들어 허공을 걷는 듯한 짜릿함을 맛볼 수 있다 . - 제 4 경 고인돌 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대신리와 도곡면 효산리 일원의 세계 문화유산 지정 고인돌 유적지 . 화순 지역의 고인돌은 기원전 5~6 세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 자연 상태의 산림 속에 있어 다른 유적보다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고인돌의 기원과 성격 , 동북아시아 지역 고인돌의 변천사를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제 5 경 만연산 철쭉공원 화순읍 수만리서 큰 재를 지나 안양산까지 이어지는 철쭉공원은 한국의 알프스라고 불릴 만큼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 무등산 자락이 화순을 향하다 이룬 봉우리가 깊은 골짜기를 이뤄 물 또한 풍부한 곳이다 . 봄철 철쭉이 만개할 땐 도로변에서 산 정상까지 마치 융단을 깔아놓은 듯 다양한 철쭉 꽃잎이 온 산을 뒤덮어 별천지에 다다른 환상을 선사한다 . - 제 6 경 이서 규봉암 규봉암은 무등산 ( 해발 1,187m) 입석대 (1,017m) 아래 남동쪽으로 1.6km 지점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에 있다 . 화순출신 진각국사 혜심 (1178~1234) 이 이곳에서 수도하며 득도하였다고 한다 . 규봉암 인근에는 광석대 , 설법대 , 은신대 , 풍혈대 , 삼존석 , 송하대 등 바위 생김에 따라 이름 붙여진 바위들이 사찰 주변을 감싸고 있어 신비로운 경관을 뽐내고 있다 . - 제 7 경 연둔리 숲정이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둔리 둔동마을에 있는 숲정이 ( 마을 근처에 있는 숲 ) 로 , 2006 년 12 월 27 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 237 호로 지정되었다 . 보호 면적은 6,437 ㎡ 이다 . 동복천 ( 川 ) 을 따라 약 700m 에 걸쳐 남북 방향으로 길게 늘어서 있는 숲은 왕버들나무 · 느티나무 · 서어나무 · 검팽나무 · 상수리나무 · 뽕나무 등 230 여 그루의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 - 제 8 경 세량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1969 년 준공되었다 . 제방 형식은 흙으로 둑을 쌓은 토언제 ( 土堰堤 ) 이다 . 유역 면적 100ha, 수혜 면적 8.7ha, 만수 면적 1.2ha 이며 , 유효 저수량은 5 만 4000t 이다 . 제방 길이는 50m 이고 , 제방 높이는 10m 이다 . 봄이면 연분홍빛으로 피어나는 산벚꽃과 초록의 나무들이 수면 위에 그대로 투영되는데 , 햇살이 비칠 무렵 피어오르는 물안개와 어우러져 이국적 풍광을 빚어낸다 . 또 가을이면 단풍으로 물든 산과 어울려 경관이 아름답다 . 이 때문에 사진 찍기를 즐기는 사람들의 출사지 ( 出寫地 ) 로 알려져 있다 . 글: 손소현(여행 작가) 사진: 이희배(사진 작가) ※ 위 정보는 2021년 10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연관정보

        해당 여행기사에서 소개된 여행지들이 마음에 드시나요?

        평가를 해주시면 개인화 추천 시 활용하여 최적의 여행지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댓글

        댓글 (건)

        유의사항
        불건전한 댓글의 경우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댓글/답글 등록 시 사용자의
        닉네임, 이미지 (투어원패스대한민국 구석구석
        마이페이지
        명칭 사용)가 함께 표시됩니다.

        AI가 빠르게 요약해주는 사용자 후기!

        AI 요약 서비스는 최근 3년 이내
        작성된
        댓글이 일정한 개수 이상인 경우
        제공됩니다.

        최근 3년 이내 작성된 댓글이
        일정한 개수 이상인 경우
        사용자 후기 요약 정보가 제공됩니다.

        사진 후기

          이벤트 정보입력 및 이벤트 참여 동의

          이벤트 개인정보 수집 · 활용 및 위탁동의

          이벤트 당첨 안내 및 경품 수령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동의 입니다.
          관련 정보는 당첨자 발표일 기준 3개월간 유지되며, 이후 폐기 처리됩니다.

          개인정보 입력 및 수집 이용 (필수)
          • 주소
          • ※ 실물경품 당첨 시 해당 주소로 배송되므로 정확하게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입력으로 인한 당첨 불이익 (경품 미수령, 오배송 등)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활용에 관한 동의 (필수)

          한국관광공사는 이벤트 당첨자 선발 및 안내를 위해 이벤트 참여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참여자의 사전 동의 없이는 개인 정보를 절대로 공개하지 않습니다.

          • 수집 목적 : 이벤트 참여 및 경품 발송
          • 수집 항목 : 이름, 휴대폰 번호
          • 보유 및 이용 기간
            • - 이벤트 참가자 개인 정보 보유, 이용 기간 : 개인 정보 수집, 동의 일로부터 이벤트 종료 시점까지
            • - 이벤트 당첨자 개인 정보 보유, 이용 기간 : 당첨자 발표일 기준 3개월까지 보유 / 경품 배송 완료일까지 이용
          • 개인 정보 파기절차 및 방법

            이용자의 개인 정보는 원칙적으로 개인 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되면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회사의 개인 정보 파기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파기절차
            • - 이용자의 개인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즉시 파기됩니다.
          • (2) 파기방법
            • - 종이에 출력된 개인 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 - 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 개인 정보의 취급 위탁

            회사는 이벤트 경품 제공과 관련하여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해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타 업체에 위탁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위 처리는 이용자가 동의한 개인 정보의 이용 목적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행사 종료 시 일괄 폐기하도록 합니다.

          • - 이벤트 진행 : (주) 유니에스아이엔씨
          • - 이벤트 경품 발송 : ㈜ 티사이언티픽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