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수목원 포항시 경상북도수목원은 평균해발 650m에 위치한 고지대로 2,727ha의 국내 최대 면적을 가진 수목원이다. 독특한 생태를 가진 울릉도 식생을 재현한 울릉도 식물원과 고산식물원, 침엽수원 등 24개 소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숲해설 전시관, 숲 체험학습관, 숲생태 관찰로 등의 체험시설과 자연체험학습장이 있다. 상세주소 죽장면 수목원로 647 문의처 054-260-6100 자세히 보기 경주양동마을 경주시 양동 민속마을은 조선시대 전통문화와 자연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한국 최대 규모의 집성촌으로 월성 손 씨와 여강 이 씨에 의해 형성되었다. 국보, 보물, 민속자료 등 많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어 마을 전체가 문화재(국가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상세주소 강동면 양동마을길 134 문의처 054-762-2630 자세히 보기 교촌한옥마을 경주시 중요민속자료인 경주최씨고택과 중요무형문화재인 경주교동법주가 자리잡고 있는 교촌마을은 12대 동안 만석지기 재산을 지켰고 학문에도 힘써 9대에 걸쳐 진사(進士)를 배출한 경주 최부자의 얼이 서린 곳이다. 상세주소 교촌길 39-2 문의처 054-760-7880 자세히 보기 세종대왕자태실 성주군 조선조 세종대왕 왕자들의 태실로서 전열은 11기, 후열은 8기로 되어있다. 태실 앞에는 각각 왕자의 태실비가 세워져 있는데, 대부분 세종 20년(1438)에서부터 세종 24년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주소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39-18 문의처 054-930-6782 자세히 보기 도산서원 안동시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1574년(선조 7)에 지어진 서원이다. 서원의 건축물들은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졌으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하고 있다. 상세주소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문의처 054-856-1073 자세히 보기 문경새재오픈세트장 문경시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은 드라마 '킹덤', '옷소매 붉은 끝동', '해를 품은 달' 등을 촬영한 세트장으로 문경 도립공원과 연결되어 있다. 한옥촌, 저잣거리, 서민 마을 등 여러 가지 분위기의 세트장이 넓은 부지 위에 펼쳐져 있어 마치 조선시대로 시간 여행하는 기분이 든다. 상세주소 문경읍 새재로 932 문의처 054-571-4357 자세히 보기 선성현문화단지 안동시 선성현 문화단지는 과거 선성현 옛 관아의 모습을 복원한 곳으로, 주요시설로는 객사, 동헌, 역사관 등이 있어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다. 안동호의 아름다운 수변 경관을 볼 수 있으며 바로 앞에는 물 위의 산책길인 선상수상길, 인근에는 예끼마을, 도산서원 등이 있어 휴양과 힐링이 가능하다. 상세주소 도산면 선성5길 8 문의처 054-841-0112 자세히 보기 직지사 김천시 황악산 기슭에 위치한 직지사는 신라 눌지왕 2년(418) 아도화상이 세웠다는 설이 있으나, 사적비가 허물어져 확실한 내용은 알 수 없고 어떤 승려가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도리사와 함께 창건했다고 전한다. 문화재로는 2008년 보물로 지정된 대웅전과 그 내부의 수미단, 삼존불탱화가 있으며, 경내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약사여래좌상, 3층 석탑 등이 있다. 상세주소 대항면 직지사길 95 문의처 054-429-1700~4 자세히 보기 청도신화랑풍류마을 청도군 청도신화랑풍류마을은 화랑의 정신·문화·체험활동을 특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현대적 의미의 해석을 통한 화랑문화 고유의 정통성과 새로운 신화랑 정신문화가 공존하는 복합문화관광단지이다. 심신을 수양할 수 있는 전시관과 명상실, 신제 과녁에 활을 쏘아보면서 신라의 화랑을 직접 체험해보는 화랑 궁도장, 연회장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상세주소 운문면 신화랑길 1 문의처 054-370-7300 자세히 보기 청도소싸움경기장 청도군 청도군에 위치한 세계 최초의 소싸움 전용 개폐식 돔 경기장이다. 2007년에 준공되어 2009년부터 정식으로 청도 소싸움 축제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011년부터 상설경기장으로 개장되어 주말마다 경기가 열리며, 소경기에 배팅을 걸어볼 수 있다. 상세주소 화양읍 남성현로 348 문의처 054-370-7500 자세히 보기 대가야생활촌 고령군 대가야생활촌은 역사적 고증과 현대적 상상을 바탕으로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의 과거, 현재, 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재현한 곳이다. 1500년 전 대가야 시대로 안내해주는 영상관, 대가야 의식주 생활상을 재현한 인줄마을, 대가야의 철기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불묏골, 기와마을과 초가마을로 이루어진 숙박시설 한기촌 등이 있어 학습체험과 숙박을 한 곳에서 즐길 수 있다. 상세주소 대가야읍 신남로 81 문의처 054-950-7180 자세히 보기 대가야박물관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은 대가야 왕릉이 모여 있는 지산동고분군의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대가야왕릉전시관’과 ‘대가야역사관’, 그리고 우륵 선생이 가야금을 창제한 정정골에 위치한 ‘우륵박물관’ 으로 이루어진 대가야와 고령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전시한 국내 유일의 대가야사전문박물관이다. 상세주소 대가야읍 대가야로 1203 문의처 054-950-7103 자세히 보기 화랑설화마을 영천시 화랑설화마을은 천 년 동안 이어진 한국의 화랑정신을 보고 느낄 수 있는 레저복합형 문화공간이다. 김유신 장군의 설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곳은 마을 곳곳에서 김유신 장군의 탄생과 이야기를 그려낸 조형물들을 만나볼 수 있다. 또, 화랑들이 수련했던 활쏘기를 체험하는 곡궁 체험장, 화랑과 우주에 대한 VR 체험을 할 수 있는 신화랑 우주체험관 등이 있어 가사과 현실을 넘나드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상세주소 금호읍 거여로 426-5 문의처 054-331-5613 자세히 보기 소수서원 영주시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을 창건한 데서 비롯되었다. 상세주소 순흥면 소백로 2740 문의처 054-639-7691~5 자세히 보기 function travelweekgasave(action, title) { ga('send', 'event', '여행가는 가을 추천 관광지_리스트', action, title, 1);} .fullscreen-container { width: 100vw; margin-left: calc(-50vw + 50%);} .recommended-travel { overflow: hidden; padding: 60px 15px 90px; background: #f3eae3;}.recommended-travel > div { overflow: hidden; max-width: 940px; margin: 0 auto;}.recommended-travel > div > div { display: flex; flex-wrap: wrap; margin: -20px -10px 0;}.recommended-travel article { position: relative; width: calc(33.33333333333333% - 20px); margin: 20px 10px 0; border: 3px solid #ef5f31; border-radius: 10px; background: #fff; box-sizing: border-box;}.recommended-travel header { position: relative; height: 130px; padding: 70px 10px 0; background: #ef5f31; color: #fff; font-weight: 700; text-align: center; box-sizing: border-box;}.recommended-travel h3 { margin: 0; color: #fff; font-weight: 700; font-size: 22px; line-height: 1.2;}.recommended-travel header p { position: absolute; top: 30px; right: 10px; left: 10px;}.recommended-travel header span {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30px; border-radius: 10px; background: #cf4427; font-size: 18px; line-height: 30px;}.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 padding: 10px 10px 140px; letter-spacing: -0.025em; box-sizing: border-box;}.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p:first-child { color: #333; font-size: 16px; line-height: 1.5; text-align: center;}.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l { position: absolute; bottom: 55px; left: 0; width: 100%; min-height: 65px; color: #cf4427; font-weight: 400; font-size: 15px; line-height: 1.5; text-align: center;}.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t,.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d { display: inline;}.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t { white-space: nowrap;}.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dt::after { content: : ;}.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p:last-child { position: absolute; bottom: 20px; left: 0; width: 100%; text-align: center;}.recommended-travel header + div p:last-child a { display: inline-block; border-bottom: 4px solid #cf4427; color: #000000; font-size: 20px; line-height: 32px; vertical-align: top;}@media all and (max-width: 860px) { .recommended-travel { padding-top: 30px; padding-bottom: 60px; } .recommended-travel > div > div { margin: -10px -5px 0; } .recommended-travel article { width: calc(50% - 10px); margin: 10px 5px 0; }}@media all and (max-width: 576px) { .recommended-travel > div > div { margin: -10px 0 0; } .recommended-travel article { width: auto; margin: 10px 0 0; }} .recommended-travel article:hover { background: #fec77e;}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