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백나무 숲의 진면모를 확인시켜준 장성의 축령산, 하산하면서 한 마을을 만났다. 이후 어떤 이끌림을 따라 통제되지 않는 여정으로 장성의 또 다른 모습을 알게 됐다. 곳곳에 흩어진 예술, 문화의 체취가 그윽한 장성이다. 축령산 정상에서 정 북쪽에 자리한 금곡마을. 영화촬영지로 주목받아 명소가 된 곳이다. 규모는 가구 수 50호도 안 되는 마을이지만 이 일대의 심미는 규모 따위로 풀이할 수 없다. 마을을 두른 산세, 그 속에 안긴 마을이 일광욕을 즐기는 듯 누워 있다. 자연과 마을이 한 단위의 공간처럼 조화를 이뤘다. 많은 영화 관계자의 눈길을 사로잡았을 것이다. 마을 초입에서 천천히 둘러보며 안쪽으로 들어가면 다랑논이 있는 농촌에서 봉우리가 잘 띄는 산촌으로 분위기가 바뀐다. 산기슭 경사면이 마을의 오르막과 내리막이 되고 마을 외곽의 길가는 수림이 우거져 있다. 산길은 마을과 자연스레 이어져 마실길처럼 걷기 편하다. 축령산을 등에 업고 있는 금곡마을의 특징이기도 하다. 촬영지라는 기능적, 형태적 명칭이 아닌, 그냥 금곡마을이라 되뇌었을 때 입에서 나와 귀로 들리는 소리가 정겹다. 예전의 길바닥은 정갈하게 포장됐고, 축령산에서 내려오는 관광객이 들릴만한 음식점과 찻집 등이 만들어지면서 오지의 느낌은 예전에 비해 퇴색했으나 번잡한 바깥세상과는 멀리 떨어진 오지의 고요함, 조용함이 여전히 좋다. 거기에 축령산에서 내려온 시원한 편백향 내음은 심신을 맑게 한다. 골목길을 두루 걸으며 이곳에서 촬영된 작품을 상기하노라면 옛 분위기가 마을에 덧칠되면서 향수를 달래준다. 이 마을이 촬영지로 이름날 수 있었던 작품은 임권택 감독의 '태백산맥'이다. 또 장성은 임권택 감독의 고향이기도 하다. 그의 시선으로 탄생한 영화 속 세상을 보며 얼마나 많은 감동을 느꼈던가. 이곳에서 그의 예술혼이 연소됐다고 생각하니 발걸음이 조금은 더 신중해진다. 양손의 엄지와 검지를 맞물려 손가락 사각틀 속으로 여기저기 구도를 잡아보는 재미도 오랜만에 느껴본다.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곳에서 인걸이 뛰어나다 했던가. 암행어사 박문수가 아름다운 강산으로 첫손에 꼽은 장성은 예부터 대문장가들을 많이 배출한 고장으로 유명했다. 조선시대, 철종을 찾아온 중국 사신이 한 글귀를 내놓으며 답을 요구했다. 궁내에서는 답을 내놓는 이가 없었고 이에 장성의 학자인 노사 기정진 선생을 불렀고, 명쾌한 답이 나왔다. 그 후 장안의 수많은 눈이 장성의 눈 하나만 못하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또 흥선 대원군은 장성에서는 글 자랑 마라며 문장가의 고장임을 드러낸 바 있다. 그 명맥이 현재는 장성의 큰 자랑 임권택 감독으로 이어진다. 이를 기념하며 임권택 감독 조형물도 설립했다. 직접 보기 위해 장성호 관광지로 이동했다. 호남정맥이 누떼의 대이동처럼 장성호 옆으로 일제히 내달린다. 수면에 드리운 그림자까지 합세한 풍경은 마치, 고요한 호수에 한 마리 용이 기상할 준비를 하는 듯하다.
장성호 관광지, 주차장에서 임권택 감독 동상이 쉽게 눈에 띈다. 그의 경력이 간단하게 정리돼 있다. 조각상에서 북북서 방향으로 오르막길과 공원 안내도가 보인다. 짧은 오르막길을 오르면 야트막한 산 둔치에 공원이 조성됐다. '장성문화예술공원'이다. 국내외 선현이 남긴 시·서·화·어록 등이 조각품과 맞물려 또 다른 작품으로 103점이 공원 곳곳에 배치돼 있다. 안내도를 유심히 살펴보면 좋다. 일단 유형 별로 구분된 공간을 눈에 익히고 마음에 드는 작품을 놓치는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자. 처음으로 반겨주는 작품은 다산 정약용의 '장성에 이르러'라는 시이다. 다산 정약용이 18세 때 화순 현감으로 있던 아버지를 뵈려고 가던 길에 장성에 도착하여 지은 시이다. 전북 정읍에서 갈재를 넘어 장성에 이르기까지의 따뜻한 풍광을 읊은 내용이다. 작은 고개를 넘으면 어릴 적 한번쯤은 읊어봤을 김소월, 서정주, 김춘수, 윤동주 등의 시와 이중섭, 신윤복, 허련 등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김춘수의 '꽃'을 처음 알게 됐을 때, 세상이 조금은 따뜻해졌다. 여행하면서 남들은 그냥 지나쳐버린 사물이 자신에게는 특별해 보일 때, 아마도 그런 순간이 김춘수가 말하는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가 아니었을까. 공원에서 만나는 작품들 또한 마찬가지. 불러주면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된다. 박목월의 '나그네', 시 속에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라는 문구에서 쉬이 마음을 떼기 어렵다. 밤하늘 홀로 밝히며 유유히 움직이는 달이 박목월 시인에겐 나그네처럼 보였나 보다. 이육사의 '광야'는 시인이 죽은 뒤 아우가 수습한 절명시[絶命詩]이다. 하늘이 처음 열린 때부터 초인이 오는 천고의 뒷날까지 언급하며 이육사가 노래한 광야가 영상처럼 스친다. 그 광야에 이육사가 뿌린 노래의 씨는 무엇이었을까. 당대에 내로라하는 사람들의 명작도 인상적이고 조각가들의 아름다운 작품 또한 쉽게 지나칠 수 없다. 덕분에 일반인뿐만 아니라 예술이나 문화계통에서 종사하는 전문인도 즐겨 찾는다고 한다. 그냥 산책하듯 걷는다면 한 시간도 채 안 걸리는 동선이지만, 10m가 멀다고 멈춰 서서 작품을 감상하다 보면 소요시간은 무한대로 늘어나는 공원이다. 1.찾아가는길 * 자가운전 [금곡마을] 호남고속도로 백양사 IC(우회전) → 굴다리밑으로 직진 → 모현 사거리(고창방면으로 우회전) → 898번 지방도로 → 개천고 → 금곡영화마을 [장성호 관광지] 호남고속국도 백양사 IC → 장성 방면 1번 국도 → 북이면 사무소 → 장성호 관광지 2.맛집 대성산채 : 산채정식, 061-392-7427 상무가든 : 오리전골, 한방오리훈제, 061-394-2700 산골짜기 : 꿩샤브샤브, 061-393-0955 단풍두부 : 단풍두부보쌈, 단풍두부전골, 061-392-1515 3.숙소 J모텔 : 장성군 장성읍 기산리, 061-393-7781 궁전여관 모텔 : 장성군 북하면 중평리, 061-392-3777 뉴나포리모텔 : 장성군 삼계면 주산리, 061-394-9211, 061-394-9212, 061-394-9213 밀라노여관 모텔 :장성군 장성읍 유탕리, 061-393-3211 - 글, 사진 : 한국관광공사 국내스마트관광팀 안정수 취재기자( ahn856@gmail.com ) ※ 위 정보는 2014년 4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