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6월이면 생각나는 한국전쟁. ‘세계 유일의 분단국’이란 수식어는 우리나라의 아픈 현실을 말해주고, 남과 북을 가로막은 철책과 지뢰, 군부대로 상징되는 DMZ(비무장지대)는 한국전쟁의 아픔을 보여준다. 애잔한 역사를 품은 비극의 땅이지만, 마냥 슬프지는 않다. 안보 관광이라는 이름 아래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걸음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경기도 북부의 연천으로 떠나는 안보 관광은 철책 너머로 손에 닿을 듯한 북한이 한눈에 들어오는 승전OP(Observation Post, 초소)에서 시작된다. ( ※ 승전OP는 비룡전망대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승전OP는 철원이나 고성 지역에 설치된 여행객을 위한 전망대와 달리 육군 25사단이 북한군의 활동을 관측하기 위해 운용하는 최전방 관측소다. 그러다 보니 망원경 시설이 갖춰지지 않았지만, 국군 관측소와 북한군 관측소의 거리가 750m에 불과해 북한 땅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다. ‘북녘의 산하는 어떤 모습일까?’ 하는 궁금증을 해소하기에 충분하다. 승전OP 앞으로 남방 한계선의 철책이 길게 늘어섰고, 2km 북방에 휴전선이라 부르는 군사분계선이 있다. 군사분계선 앞에는 태극기와 유엔기가 꽂힌 GP(Guard Post, 휴전선 감시초소)가 있고, 북쪽으로 2km 지점에 북방 한계선이 있다.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 2km 사이에 국군과 북한군의 관측소와 초소가 빼곡하게 설치되었다. 사소한 움직임도 금방 알아챌 수 있을 만큼 시야가 확 트였고, 개미 기어가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고요하다. 무거운 분위기 때문에 위험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그것도 잠시 뿐이다. 철책 주변은 흔히 볼 수 있는 시골 풍경과 다르지 않다. 나지막한 산자락이 파도처럼 이어지고, 잡초가 우거진 넓은 들이 펼쳐진다. 한국전쟁이 사람들의 왕래를 막아놓았을 뿐, 생명의 자유로운 움직임마저 없는 것은 아니다. 노루와 산양 같은 동물이 뛰어다니고, 독수리와 참매 등 새들이 자유롭게 날아다니며, 희귀한 식물들이 자생한다. 민통선 안에서 농번기를 맞아 분주하게 모를 가꾸고, 밭을 일구는 농부들이 보인다. 풍경만 보면 남과 북이 대치하는 일촉즉발의 공간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터전과 다르지 않아 언젠가는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품게 된다. 아직은 남과 북이 마주하고 있기에 군인들이 24시간 경계 임무를 수행한다. 승전OP의 감시 망원경으로 북한 초소와 북한군의 움직임을 하나하나 감시 중이다. 우리 땅이 왠지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낯선 풍경이 안보 관광에서 접할 수 있는 선물이다. 안보 관광을 할 때 지역에 대한 설명은 반드시 들어야 한다. 눈으로 보고 있어도 어디가 북한 땅인지, 멀리 보이는 건물은 무엇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저 휴전선과 너른 평지, 중첩되는 산자락이 전부다. 하지만 승전OP 내 전망대에 마련된 지역 모형도를 보며 담당 군인의 설명을 듣고 나서 주위를 바라보면 느낌이 다르다. 내가 보는 곳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어느 것이 북한군이 국군을 관측하는 초소이며 북한군이 주둔하는 부대인지 자세히 알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북녘을 바라보면 눈에 들어오는 것이 훨씬 많고, 남북이 대치하는 상황이 실감 난다. 승전OP 다음으로 방문할 곳은 1·21무장공비침투로다. 1968년 1월 17일 밤 11시 북한군 민족보위성 정찰국 124군 소속 김신조를 포함한 무장 공비 31명이 남방 한계선을 넘어 침투한 곳이다. 이들은 한국군 복장에 수류탄과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1월 21일 서울에 잠입, 청와대와 주요 기관을 폭파하고 요인을 암살하고자 했다. 그러나 19일 오후 9시경 파주시 법원리에 거주하는 나무꾼이 신고하여 군경 합동으로 소탕 작전이 펼쳐졌다. 이들은 세검정고개 자하문을 통과하려다 근무 중이던 경찰의 불심검문을 받아 정체가 드러나자, 수류탄을 던지고 기관총을 난사해 많은 경찰과 시민들이 죽거나 다쳤다. 세검정 일대에서 사살 29명, 도주 1명, 생포 1명으로 상황이 종료되었다. 1·21무장공비침투로는 무장 공비가 침투한 구간을 걸으며 체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당시 이곳에 주둔한 미군 2사단 방책선 경계 부대가 설치한 경계 철책과 철조망을 뚫고 침투하는 무장 공비의 모형물이 전시되었다. 경계 철책에는 통일의 염원을 담은 희망 리본이 가득 달려 있어 분단의 아픔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연천은 낭만적인 여행길은 아니지만, 민족의 상처와 아픔 위에서 더욱 건강한 미래를 이야기하는 여행지다. 가까이 보이는 북녘 땅, 남북을 가로지르는 휴전선을 바라보며 가슴과 머리를 맞대어 우리에게 주어진 어려운 숙제를 풀고 희망을 이야기해보자. 승전OP 인근에는 경순왕릉, 호로고루 등 역사 유적지가 있다. 경순왕릉은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978)의 능이다. 백제의 잦은 침입과 각 지방 호족들의 할거로 국가 기능이 마비되는 상태에 이르자, 경순왕은 고려에 평화적으로 나라를 넘겨주고 왕위에서 물러났다. 고려 왕건의 딸 낙랑공주와 결혼했고, 고려에서 태자보다 높은 정승공에 봉해지기도 했다. 경순왕이 세상을 뜨자 신라 유민들이 경주에서 장례를 치르려 했으나, 고려 조정에서 “왕의 관은 100리 밖으로 나갈 수 없다” 하여 현재 위치에 장례를 지냈다. 경순왕릉이 신라의 왕릉 중에서 유일하게 경주를 벗어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후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능의 존재가 잊혔다가, 조선 영조 23년(1747) 후손들이 왕릉 주변에서 묘지석을 발견해 조선 후기 양식으로 재정비되었다. 호로고루는 임진강에 위치한 고구려의 성곽이다. 평지에 설치한 성곽으로 남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삼각 형태가 이채롭다. 성곽이 위치한 고랑포 여울목은 임진강 하류에서 처음 만나는 여울목으로, 배를 이용해야 건널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다. 호로고루는 고구려가 임진강 방어선을 관장하는 국경 방어 사령부가 있던 곳이다. 승전OP에서 전곡 방면으로 가다 보면 고려 태조를 비롯해 현종, 문종, 원종의 위패와 고려 시대 공신 16명의 위패를 모신 숭의전이 나온다. 해마다 고려의 네 왕과 16공신에게 제향을 지내는 곳이다. 입구에는 ‘어수정’이라는 우물이 있는데, 태조 왕건이 그 물을 즐겨 마셨다고 한다. 한탄강 주변에 있는 연천 전곡리유적도 들러볼 만하다.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유적을 대표하는 곳으로, 1978년 주한 미군 병사가 그때까지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발굴되던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를 발견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유적지가 되었다. 유적지에는 토층 전시관과 움집, 선사시대 야외 체험관 등 구석기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시설이 갖춰졌다. 유적지 내 전곡선사박물관에서는 인류의 진화 과정, 선사시대의 자연환경, 구석기시대의 예술 등 구석기시대 문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당일 여행 코스> 승전OP→1·21무장공비침투로→경순왕릉→호로고루→숭의전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승전OP→1·21무장공비침투로→경순왕릉→호로고루→숭의전 둘째 날 / 연천 전곡리유적→한탄강유원지→재인폭포→허브빌리지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연천군 문화관광 http://tour.yeoncheon.go.kr/ - 전곡선사박물관 031-830-5600 http://jgpm.ggcf.kr ○ 문의 전화 - 연천군청 관광과 관광기획팀 031-839-2061 ○ 승전 OP 방문 절차 ( ※ 승전OP는 비룡전망대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 민통초소 출입 후 신분증 제시하여 출입가능 - 해당 군부대 사정으로 인하여 불시 통제가 이뤄질 수 있음 ○ 대중교통 정보 승전OP와 1·21무장공비침투로는 대중교통으로 돌아볼 수 없으니, 자가용을 이용하는 편이 효율적이다. ○ 자가운전 정보 - 자유로→문산 IC→37번 국도→장남교→경순왕릉→승전OP - 의정부→동두천→한탄강다리 건너기 전 좌회전→37번 국도 문산·적성 방면→적성→장남교→경순왕릉→승전OP ○ 주변 볼거리 태풍전망대, 열쇠전망대, 허브빌리지, 한탄강유원지, 동막골유원지, 재인폭포 ※ 위 정보는 2024년 4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의 모든 콘텐츠(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