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인조는 명을 가까이 하고 후금을 멀리하였다. 국력을 키운 후금은 나라의 이름을 청으로 바꾸고 조선을 침략하였다. 이것이 1636년 일어난 '병자호란'이다. 막강한 청나라 군대는 빠르게 한성으로 진격하였고, 남한산성으로 피신해 47일 동안 대항하던 인조는 결국 청에 항복하였다. 이후 조선과 청은 신하와 임금의 관계를 맺었고 조선의 백성들은 임진왜란 이후 또다시 크나큰 고통을 겪어야 했다. 남한산성은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등산로로 이용하고 있지만, 과거 병자호란의 치욕을 겪은 가슴 아픈 곳이다. “아빠, 남문으로 갈 거야? 그럼, 나 먼저 간다아아~” 여덟 살 꼬마의 발에 스펀지라도 달린 걸까. 바닥이 꼬마를 밀어 올리듯 가볍게 남한산성 계단을 밟아 나간다. 아빠보다 몇 십 미터를 앞서 걷다 뒤돌아보며 산성을 감상하는 여유도 지녔다. 한두 번 남한산성을 오른 솜씨가 아니다. 중년의 신사에게서 느껴지는 여유와는 또 다른 맛이 있다. 삶이 곧 경쟁인 현대사회에 남한산성을 자박자박 걷는 꼬마에게서 여유를 배운다. 과자들 틈에 별사탕을 발견하는 마냥, 가을을 걸으니 인생의 단맛이 다가온다. “…치솟은 능선을 따라가는 성벽이 밤하늘에 닿아 있었고, 모든 별들이 성벽 안으로 모여서 오목한 성은 별을 담은 그릇처럼 보였다…” 작가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의 일부다 .실제 남한산성의 모습은 굽이친 능선에 은테를 두른 듯 하다. ‘별을 담은 그릇처럼 보인다’는 묘사 또한 실제와 같다. 성의 전체적인 형태가 주변부는 높은데 반해, 중심부가 낮고 평평한 평지를 이루고 있는 점을 보면 그렇다. 수비는 쉽게, 성내의 생활은 편하게 해 산성역할에 적합한 지형이었던 셈. 남한산성은 서울 외곽을 지키는 4대 요새 중 동쪽을 맡은 요새였다. 조선시대 산성의 모습을 가장 완벽히 보존하고 있다. 하지만, 남한산성을 얘기할 때면 으레 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애초 신라 문무왕 12년에 토성으로 축성 되었던 이력 때문이다. 석성으로 개축한 것은 조선 광해군 12년 후금의 침입을 막고자 한데서 비롯됐다고 한다. 역사적, 문학적 배경을 차치하고서라도 남한산성은 충분히 아름답고 장엄하다. 일찍이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남한산성에는 동서남북으로 향하는 문과 73칸의 행궁, 80개의 우물, 45개의 샘이 있고, 광주읍의 행정처도 산성 안으로 옮겼다고 기록돼 있다. 산성의 규모와 산성 내의 공간이 가늠키 힘들만큼 크다는 방증이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얼마 되지 않는다. 동, 남문과 서장대, 현절사, 문무관, 장경사, 지수당, 영월정, 침괘정, 이서 장군사당, 숭렬전, 보, 루, 돈대 등이 남아 있다. 그 중 성곽의 모습을 잘 살필 수 있는 곳은 4대문과 수어장대, 서문 중간의 일부 성곽 정도다. 가을 정취를 느끼며 성곽을 걷는 길은 크게 세개 정도로 꼽을 수 있다. 산성로타리 라고 하는 곳에서 출발하는 코스들로 쉬엄쉬엄 걸으면 한시간 반 남짓 하는 코스들이다. 특히 이 코스들은 산성로타리까지 버스 정류장이 들어서 있어 접근하기 쉽다. 산성로타리에서 북문과 서문을 지나 수어장대에 오른다. 내려오는 길엔 영춘정과 남문을 지나는 코스가 첫 번째다. 전체 길이는 약 3.8km 가량 되며 한시간 반 가량 걸린다. 산성로타리에서 영월정, 숭열전을 지나 수어장대에 오르는 코스는 서문과 국청사를 지나 제 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60분 가량 소요되는 코스로 길이는 2.9km 가량 된다. 남문에서 남장대터, 동문과 개원, 산성로타리를 거치는 코스로 3.8km 약 1시간 20분이 소요된다. 가벼운 산행으로 적당하다. 길이 넓고 잘 정비된 터라, 크게 힘든 구간은 없다. 대부분의 코스는 출발하는 방향만 다를 뿐 수어장대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쉽다. 수어장대는 산성 축성 당시 동서남북에 세워진 4개 의장대 중 으뜸가는 장대(장수가 올라서서 명령을 지위하던 곳)이자, 유일하게 남은 장대다. 크게 가파른 구간은 없지만, 쉼 없이 올라온 터라 힘에 부치기 마련. 이럴 땐 수어장대에서 쉬어가도 좋겠다. 실제 코스의 상당수가 수어장대를 기점으로 이뤄져 있다. 무엇보다 남한산성에서 가장 경관이 좋은 곳으로 꼽힌다. 굳이 “이곳이다” 하지 않더라도 산성 곳곳은 능선이 빚어내는 오묘한 곡선이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가만가만 걷다 보면 얼굴에 미소를 머금은 다양한 인간군상을 만나는 것도 묘미다. 이를테면 등산조끼에 소형라디오를 넣고 트로트를 열창하시는 할아버지. 이제 막 사랑이 시작된 듯 보이는 수줍은 연인의 데이트. 故김광석 노래 <어느 60대 노부부의 이야기>의 모델이 아닐까 싶은 부부의 모습들 말이다. 남한산성 주변엔 맛 좋기로 소문난 곳들이 꽤 많다. 우선 산성로타리에서 바로 보이는 백제장을 꼽을 수 있다. 성안의 많은 음식점들 중 터줏대감을 자처하는 백제장은 산채정식이 유명한 곳. 모판 대신 면포를 이용해 손으로 빚어 만드는 주먹두부도 남한산성에서 알아주는 먹을거리 중 하나다.가장 유명한 곳은 오복손두부집. 대물림 해가며 두부를 만들고 있다. 이외에도 닭백숙 오리요리 산채정식 요리점 70여 곳이 성업 중이다. “밥은 됐다. 목이 탄다” 말하는 어르신들이라면 막걸리 한 사발도 괜찮다. 도토리묵과 파전, 감자전을 파는 곳도 많고, 좌판에서 냉막걸리를 파는 상인도 있다.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던 철 지난 영화 제목이 가슴에 콕 와서 박히는 가을이다. 가을을 느낄 수 있는 길은 어디쯤이 좋을까. 지난해 서울시에서 선정한 단풍과 낙엽 거리 중 걷기 좋은 거리의 구간을 찾아봤다. 우선 서울 삼청동길(동십자각~삼청터널)에선 경복궁의 담장과 어우러진 은행나무와 느티나무 단풍을 즐길 수 있다. 동대문구의 중랑천 제방길도 걷기 좋은 길 중 하나다.일단 차량통행이 없고 산책로가 조성돼 있다. 길이도 5.7.km에 이르러 왕벚나무가 건네는 가을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다. 서울시 노원구에서 ‘걷고 싶은 거리’로 지정한 구간인 화랑로도 가을을 느끼기엔 더없이 좋은 장소. 울창한 버즘나무가 터널경관을 연출한다. 서초구에는 헌능로를 따라 8km에 이르는 느티나무가 아름다운 가을 풍경을 선물한다. ‘도심 속의 휴식’으로 대표되는 청계천로는 가을에도 어김없이 걷기 좋은 길로 꼽힌다. 5.8.km에 이르는 이 길은 이팝나무 단풍이 청계천의 야경과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준다. 남한산성도립공원 -주소 :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31 -문의 : 관리사무소 031-743-6610 http://www.gg.go.kr/namhansansung-2 ※ 위 정보는 2019년 10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