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대구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중심도시이다. 6학년 1학기 2단원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과 민족 운동’ 과 관련하여 일제강점기의 살아있는 역사체험여행을 떠나보자. 1900년 초 일제는 한국을 경제적으로 파탄시켜 한국경제를 일제에 예속시키기 위해 강력한 차관정책을 썼다. 1907년 한국이 일제에 진 외채만 1300여만원, 더 이상 외채상환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게 되자. 대구를 중심으로 나라의 빚을 갚아 국권을 회복하자는 운동이 전국적으로 들불처럼 일어났다. 이 국채보상운동의 중심도시가 바로 대구다. 대구는 이렇게 한국 근대 역사의 구심점 역할을 톡톡히 해냈으며 지금도 그 역사의 흔적이 고스란히 대구의 골목 구석구석에 남아있다. 생생했던 당시 함성과 이야기가 들려오는 것 같은 대구 근대 골목투어의 출발점 동산 청라언덕으로 발걸음을 옮겨보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는 근대 시대를 살다간 선교사들이 거주하던 주택이 그대로 보존되어 지금은 의료, 선교박물관으로 일반인들에게 개방되고 있다. 붉은 벽돌로 만들어진 선교사 챔니스 주택은 당시 서양식 건축물의 낭만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일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우리의 근대문화유산이다. 동산의료원 옆 제일교회와 선교사 주택 사이로 난 90여개의 계단이 바로 3.1 만세운동길이다. 겉으로는 평범해 보이는 계단이지만 1919년 우리나라에서 일제의 무단통치에 항거하는 3.1만세운동이 일어났을 때 당시 대구의 학생들과 시민들은 이 계단을 통해 태극기를 흔들며 대구 시내로 쏟아져 내려왔다. 당시 생생했던 현장을 증언이라도 하듯이 계단 양쪽 벽으로 가득 당시의 사진과 글들이 전시되어있다. 한 장 한 장 역사책 읽어 내려가듯 소중하게 읽어 내려오면 서문시장으로 통하는 길이 나오며 계산성당과 마주하게 된다. 계산성당은 1902년에 건축된 우리나라에서 세번째로 오래된 고딕 양식의 건축물입니다. 1886년 로베트 신부가 경상도 지역에 천주교를 전파하던 중 현재 계산성당 자리에 초가집을 임시 성당으로 사용하게 되며 계산성당의 역사는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목조건물로 시작했으나 불에 타게되어 1902년 지금과 같은 고딕양식의 성당으로 다시 그 모습을 바꿨습니다. 계산성당은 대구에서 가장 먼저 지어진 서양식 건축물임과 동시에 대구에서 유일한 1900년대 성당 건축물이기도 합니다. 일제강점기를 대표하는 저항시인 이상화의 시 한편을 대구의 어느 쌀쌀한 겨울 골목길 끝에서 만난다. 풋내 나는 살지고 부드러운 흙, 땀내나는 우리의 땅을 그는 상처 입은 다리로 절둑거리며 끝끝내 걸어가고 있다. 꿈결 속에 만난 듯한 다정한 이웃들, 지금은 빼앗긴 들이지만 봄을 기다리는 시인의 마음이 그대로 읽혀져 아름다웠던 그의 발자취를 느끼러 골목을 돌아간다. 골목 어귀에는 그의 명작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가 빼곡하게 벽화로 적혀있다. 그리고 그가 생전에 살았던 아름다운 작은 집을 골목 어귀에서 만날 수 있다. 이상화 고택에 사용된 고벽돌 담장은 당시 근대의 분위기를 잘 살리기 위해 KT&G 측으로부터 일부를 기증받아 복원하였다. 집안에는 그의 생전 유품과 사진들이 정갈하게 전시되어있어 시인 이상화의 흔적을 느껴볼 수 있다. 이상화 고택 바로 이웃해서 자리잡고 있는 고택은 국채보상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했던 고 서상돈의 고택이다. 뽕나무 골목 설화의 주인공 두사충은 중국 두릉 사람이다. 그는 시인 두보의 21대손으로 임진왜란 때 귀화하여 지금의 대구 계산성당 인근 지역에서 살았다. 당시 두사충은 조선의 열악한 의복문제를 해결하는데 관심이 많아 집근처에 뽕나무를 많이 길렀다고 한다. 어느 날 뽕나무잎을 따던 두사충은 이웃집에서 절구를 찧던 아름다운 아낙에게 마음을 빼앗겨 매일 넋이 나간 듯 담장 위에 올라갔다. 아들을 안쓰럽게 여긴 두사충의 아버지는 미모의 아낙을 찾아가 중매를 넣었는데, 마침 미모의 아낙은 남편을 잃고 홀로사는 처지여서 사랑의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고 한다. 지금 뽕나무 골목은 그 많던 뽕나무는 모두 사라지고 담장 벽화 한 장으로 두사충과 아낙의 사랑이야기가 남아있을 뿐이다. 제일교회가 있는 이곳은 1898년 미국 선교사가 대구 최초의 근대 교회인 남성정교회를 세운 자리이다. 처음에는 단층 교회단이었으나 신도들의 기도와 헌금으로 지금의 아름다운 모습으로 탈바꿈 할 수 있었다. 건축 양식은 13~15세기 무렵의 유럽 고딕양식인데, 뾰족하게 솟아있는 첨탑과 붉은 벽돌, 그리고 담장 위로 자란 넝쿨이 조화를 이루어 멀리서도 한눈에 근대 건물임을 알아 볼 수 있다. 대구 약령시는 조선시대부터 전통을 이어온 전국 3대 약령시 중 한곳이다. 1658년 효종 9년 임의백 관찰사가 경상감영 내에 약령시를 개장한 이래 지금까지 그 전통이 계승되어 오고 있다. 전국적인 규모의 약령시를 보유했던 대구의 전통을 이어받아 대구 약전골목 인근에 한의약박물관이 개장되어 운영되고 있다. 어려운 한방의학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전시실도 인상적이지만, 어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체험거리도 준비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조선시대에 존재했던 고속도로이다. 지금처럼 아스팔트로 포장된 길은 아니지만 조정에서는 백성들이 편안하게 물자를 수송하고 한양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레가 다닐 수 있는 큰 길을 닦았는데, 이 길들이 오늘날 고속도로와 같은 기능을 했다. 그중 경상도와 서울을 이어주는 큰 길을 우리는 영남대로라 부른다. 영남대로를 통해 선비들은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향했고 상소를 올리기 위해 도성으로 가는 통로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노면은 흙으로 포장했고 비탈길은 박석을 깔아 보행의 편리함을 도왔다. 대로 주변에는 주막과 숙박시설도 있어 장관을 이루기도 했다. 대구의 근대 골목투어에서 영남대로는 현대백화점 근처에서 만난다. ‘진’ 이라는 말은 경상도 사투리로 긴, 길다 라는 뜻으로, 긴 골목이라는 다른 말로 부를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진골목은 그다지 길지 않다. 이 진골목에는 뜻 깊은 역사적 사건이 숨어있다. 대구에서 국채보상운동이 시작되었던 1907년 2월, 당시 진골목에 살던 여성들이 패물을 가져다 헌납했는데 그 이후로 여성들의 패물헌납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번졌다고 한다. 서울에도 종로가 있지만 대구에도 종로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성안에 종루가 있었는데, 종을 울렸을 때 그 종소리가 들릴 수 있는 길을 종로라 부른다. 1905년부터 대구 종로에 화교들이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한때 5000명이 넘는 화교들이 거주하기도 했다. 지금은 염매시장에서 팔던 떡집이 이전해오고 소규모 골동품상과 다기, 천연염색점, 전통음식점들이 성업 중이다. 과거를 말해주듯 화교학교가 지금도 남아있으며 매년 화교문화축제를 열고 있다. 숙박, 워터파크 시설을 갖춘 편리한 복합레저공간이다. 동계시즌이 아닐 때는 텐트를 대여하여 바비큐와 캠핑, 온천과 워터파크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대구 근대 골목길 투어 -문의 : 대구광역시 중구청 053-661-2000 -소요시간: 약 2시간 (코스길이: 약 1.64km) http://www.jung.daegu.kr/new/culture/pages/tour/page.html?mc=0011 스파벨리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가창로 891 -문의 : 1688-8511 http://www.spavalley.co.kr/ ※ 위 정보는 2018년 2월에 갱신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조회수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